제목 무당과 유생의 대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2.08 02:42

                                                                      무당과 유생의 대결


   중국 산둥(山東)성 취푸(曲阜)의 공자(孔子) 묘에는 면류관을 쓰고 용포를 입은, 화려한 제왕의 모습을 한 공자의 신상이 있다. 일본 도쿄(東京) 유시마성당(湯島聖堂) 등 공자를 모신 사당도 신사처럼 화려하게 꾸며져 있다.
   그러나 한국 곳곳에 퍼져 있는 공자와 유학자들을 모시는 사당에는 그들의 이름을 새긴 위패만 놓여 있을 뿐이다. 500년 역사 유교의 나라 조선왕조를 거친 한국에서 공자와 유자들이 이렇게 ‘푸대접’받는 것은 어찌 된 일인가.
   비교종교학자 한승훈의 새 책 ‘무당과 유생의 대결’은 이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이다. 저자는 송나라의 신유교로 무장한 조선의 지배층이 마치 서구 종교개혁을 이끈 프로테스탄트처럼 유교화라는 강력한 종교개혁을 밀어붙였다고 말한다. 이전의 유교가 국가 제도와 의례 체계에 머물렀다면 신유교는 불교와 도교의 영역이었던 우주론과 수양론까지 모두 대체하려는 시도로 나타났다. 조선의 설계자 격인 정도전의 ‘불씨잡변’이 신호탄이었다.
   문화 전반을 유교화하려는 조선의 종교개혁은 유교의 종주국인 중국보다도 더 급진적인 양상을 띠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아이코노클래즘(iconoclasm), 즉 ‘형상에 대한 파괴’다. 16세기 들어 유생들은 불상을 파괴하고, 신당을 불태우고, 신상을 부숴 내다 버렸다. 성상 파괴는 공자상 철거에까지 이르렀다.
   이런 움직임은 조선왕조가 문을 닫을 때까지 이어져, 적어도 수도 한양에서는 사람들이 거대한 신상에 절하는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그러나 조선의 종교전쟁이 유자들의 일방적 승리로 끝난 것은 아니다. 한양 도성을 한 발짝만 나가도 유교의 영향력은 급속히 약해졌다. 도성 출입을 금하는 법제를 비웃기라도 하듯 궁궐 안까지 들어가 활동한 무당도 여럿 있었다.
   저자는 “망자(亡者)의 영과 죽음의 세계에 대한 접근권에서는 무당의 우세가 유지됐다”며 “결국 민속종교 무대에서 조선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유교화를 완수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참고문헌>
   1. 오남석, "불상 신당 파괴했던 조선 유교...망자의 영역 무속의 힘은 넘지 못해", 문화일보, 2021.2.5일자. 12면.
       








시청자 게시판

2,112개(7/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407 2018.04.12
1991 대전 문화자본 신상구 193 2023.03.13
1990 악비, 천고에 길이 남을 忠의 화신 사진 신상구 409 2023.03.12
1989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대전을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373 2023.03.10
1988 초하(初河) 유성종 박사의 모범적인 삶 사진 신상구 271 2023.03.10
1987 3·1 독립정신 사진 신상구 234 2023.03.10
1986 <특별기고> 3.8민주의거 63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과와 사진 신상구 347 2023.03.09
1985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백서 발간 사진 신상구 215 2023.03.08
1984 <특별기고> 3.1독립만세운동의 발생 배경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265 2023.03.03
1983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신상구 422 2023.03.02
1982 윤석열 대통령 3.1운동 10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245 2023.03.02
1981 천안·아산 3.1운동 공적 미서훈 독립운동가 250여 명 발굴 사진 신상구 352 2023.03.01
1980 해방 78년, 아직도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 군상 신상구 425 2023.02.28
1979 사르후 전투에서 조선·명나라 연합군 10만명이 후금 3만 병력에 大敗 사진 신상구 251 2023.02.28
1978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인 심훈 선생, 시 영화 기사로 일제에 저항 사진 신상구 272 2023.02.27
1977 약탈 논란 문화재 ‘금동관음보살좌상’ 소유권 다툼 신상구 274 2023.02.26
1976 <특별기고> 자작나무의 특징과 한국 무속 신상구 315 2023.02.19
1975 92세에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상숙 씨 이야기 사진 신상구 235 2023.02.19
1974 조선 내각총라대신 김홍집 살해사건 사진 신상구 447 2023.02.19
1973 <특별기고> 연담 이운규 선생의 후천개벽사상과 남학의거운동 신상구 339 2023.02.19
1972 <특별기고> 2023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신상구 252 202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