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세종대왕의 리더쉽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4.06 15:16
                                                                      세종대왕의 리더쉽    
    “왜 길가에 구경하는 백성이 한 명도 없는가?” 1444년(세종 26년) 5월 5일 청주 초수리에서 돌아오는 길에 세종이 한 말이다. 두 달 전 내려갈 때와 달리 관광(觀光)하는 백성이 안 보이는 이유를 승정원에 알아보게 했다. 조사 결과, 인민들의 왕의 수레 앞 하소연을 경기관찰사 이선(李宣)이 금지시켰음이 드러났다. 이 보고를 받은 세종은 “국가에서 사람을 보내 백성들의 이해를 살피려 하면, 수령들이 미리 단속해서 감춘다는 말을 내가 일찍이 들었는데, 이제 비로소 그 실상을 알았다”면서 자기 허물을 덮어 가리려는[欲掩己過·욕엄기과] 경기관찰사를 파직시켰다. 세종까지도 경험한 “옹폐(壅蔽)”, 즉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지도자의 눈과 귀를 가리는 일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다. 옹폐라는 말은 조선왕조실록에 333회나 검색된다.

조선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은 어떻게 옹폐의 장막에서 벗어났나? 첫째, 세종은 백성들의 실태를 잘 알고 있는 낮은 직급의 관리인 수령을 자주 만났다. 재위 기간 세종이 수령을 친견한 횟수는 무려 392회나 됐다(월 1.03회). 조선 왕조에서 왕이 지방 수령을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눈 것은 세종 때부터였다. “수령의 임무는 지극히 무겁다”면서 세종은 “내가 백성의 일을 직접 살필 수 없으므로 그대들을 보내는 것이니, 부디 백성 사랑하는 일을 힘써 행하라”고 당부하곤 했다.

   둘째, 세종은 관리들을 돌아가며 만나는 윤대(輪對)라는 제도를 도입해 국사를 보고받고 세세한 내용까지 파악했다. 재위 초반인 1425년(세종 7년) 6월 23일 예문관 대제학 변계량은 왕의 총명을 넓혀서[廣聰明·광총명] 왕의 눈과 귀를 가리고 막는 폐단[壅蔽之患·옹폐지환]을 없게 할 뿐 아니라, 신하들의 뛰어나고 그렇지 못한 점[群臣之賢否·군신지현부]까지도 임금이 헤아릴 수 있는[聖鑑·성감]” 윤대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세종은 그 제안을 받아들여 약 4개월 뒤인 1425년 10월 6일부터 1437년(재위 19년)까지 거의 12년 동안 윤대를 거행했다. 윤대하는 신하들에게 세종은 “이 제도를 마련한 것은 임금의 과실(過失)과 시행하는 정책의 잘잘못[得失·득실]과, 민간의 어려운 사정[疾苦·질고], 그리고 신하들의 사사로움과 정대함[邪正·사정]을 듣기 위함”이며, 아울러 숨어 있는 인재를 뽑고자 함이니 소속 관청의 작은 문제까지 두루 아뢰라고 지시했다(세종실록 12년 윤12월 8일).

   셋째, 옹폐를 벗어나기 위해 세종이 가장 중시한 점은 어전회의의 활성화였다. 즉위 후 첫째로 한 말이 “의논하자”였던 세종은 신하들이 속에 있는 진실된 말을 다 하게 했다. 그는 경연이라는 세미나식 어전회의를 매주 한 번 이상 개최했다. 왕 앞에서 머리를 숙이거나 땅에 엎드리지 말고[無俛伏·무면복] 곧은 자세로 말하게 했다. 그럼에도 자유롭게 토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세종은 “내가 의논하라고 한 것은 서로 논박하면서[互相論駁·호상논박], 각기 마음속에 쌓인 바는 진술하라[各陳所蘊·각진소온]”는 뜻이라면서 속말 꺼내기를 당부하곤 했다. 긴급 사안이 발생하면 관계자들이 모두 한자리에 모여(會于一處·회우일처) 의논하게 하되, 일의 잘된 것과 잘못된 것을 모두 말하게 했다. 반대 의견이라도 끝까지 경청했으며, 토의가 미흡하면 종일토록 토론하게 했다(세종실록 1년 12월 17일).

   인의 장막을 벗어나기 위한 세종의 노력은 재위 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이뤄졌다. 재위 7년째인 1425년 7월에 그는 “가뭄이 너무 심하다. 기후가 순조롭지 못하여 이러하니, 장차 벼농사 형편을 나가보리라”하면서 서대문 밖으로 나갔다. 그런데 금년 벼농사는 꽤 잘 되었다는 주위 관리들의 말과 달리 논들이 말라 타들어가고 있었다. 그것을 본 세종은 “오늘 이곳에 와 보니 실로 눈물이 날 지경이다”라면서 관리들의 거짓 보고를 탄식했다. 이날 행차에 세종은 다만 그날 당번인 호위군관만 거느리고 다니면서, 벼가 잘 되지 못한 곳을 보면 반드시 말을 멈추고 농부에게 까닭을 물었다고 한다[問於農夫·문어농부]. 경호를 최소화하고 단기 필마로 백성들 속으로 들어간 세종은 들판의 농부들에게 무엇이 제일 아쉬우며, 어떤 것을 도와주면 좋을지를 물었다.

   이제 곧 새 대통령이 대한민국호를 이끌게 된다. 거의 모든 최고 권력자가 놓쳤던 점이 옹폐의 장막이었다. 현장을 찾아가 문제의 원인을 발견하고, 백성과 더불어 문제를 풀어나갔던 세종의 지혜에서 배우길 바란다.
                                                                             <참고문헌>
   1. 박현모, "세종은 어떻게 인의 장막을 극복했나?",  조선일보, 2022.4.5일자. A33면. 


시청자 게시판

2,112개(6/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480 2018.04.12
2011 모바일 남원지역 헬로비젼 채널번호 확인 요망 [1] 남조선배 375 2023.05.15
2010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사진 신상구 434 2023.05.09
2009 공주시 이삼평 ‘왜군에 적극적 부역’ 불편한 진실 사진 신상구 343 2023.05.02
2008 통일한반도 꿈꾼 아산… “통일되면 세계 1위 경제 강국 될 것” 사진 신상구 210 2023.05.01
2007 중부매일, 전국 일간지 평가 '충청권 최고 신문 선정 축하 사진 신상구 176 2023.04.28
2006 <특별기고>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수립 제104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신상구 208 2023.04.13
2005 충남의 선비정신 신상구 435 2023.04.06
2004 <특별기고> 제주 4.3사건 75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추념식 신상구 387 2023.04.05
2003 문형순, 김익열 제주 4·3사건 의인들은 ‘역사의 은인’ 사진 신상구 296 2023.04.04
2002 1920년 천마산대 소년통신원이었던 한암당 이유립 선생 사진 신상구 188 2023.04.02
2001 대전시의 미래 관광과 나비효과 양동기 사진 신상구 163 2023.03.31
2000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품으로 신상구 339 2023.03.31
1999 독도 명칭의 유래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억지 증거 사진 신상구 263 2023.03.28
1998 <특별기고> 안중근 의사의 생애와 업적과 순국 113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205 2023.03.28
1997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과 안 사진 신상구 217 2023.03.27
1996 ​거북등딱지부터 챗GPT까지, 점괘의 발달 사진 신상구 217 2023.03.18
1995 짧고 불꽃 같은 생을 살았던 조영래 천재 인권변호사 사진 신상구 373 2023.03.17
1994 무원칙과 편의의 원칙 사이에 광화문 월대의 비밀은 영원히 비밀로 남고. 사진 신상구 671 2023.03.16
1993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사진 신상구 267 2023.03.14
1992 ‘조선인요시찰인약명부’에 남은 충남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215 202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