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4.08.10 06:05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을 상대로 역사 전쟁이라도 할 모양이다. 역사 우향우 작업을 암암리에 전개하며 뉴라이트의 활동 공간을 마련하더니 우리나라 역사연구기관장을 모두 이들에게 송두리째 내주면서다.

억장이 터진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다른 곳도 아니고 극일(克日)의 상징이자 민족 자존심인 독립기념관 관장에 대한민국임시정부 법통과 항일 독립운동 역사를 부정하고 반쪽 정부 수립, 이승만 독재를 미화하며 1948년 건국론을 적극 주장해 온 뉴라이트 계열로 분류된 인사를 아닌 밤중에 덜컥 앉혔으니 말이다.

79주년 광복절이 일주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 국민 뒤통수를 거하게 때렸다. 아무리 반대해도 막무가내일 게 분명하다. 혹시나 새 관장이 독립기념관 경영 합리화나 전시를 비롯해 내부 조직을 개혁할 능력이 있는 인물일까 싶었다. 걸어온 이력을 보니 그건 아니다. 올 초부터 국사편찬위원장·한국학중앙연구원장·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에 뉴라이트 인사를 거침없이 기용하더니 끝내 독립기념관장 자리까지 그리 할 정도면 결론은 하나다. 윤 대통령 역사관의 뿌리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수용하는 뉴라이트인 것말고 설명할 도리가 없다. 하기야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로 일본과 협상하면서 조선인 노동자 강제 동원을 명시해달라는 요구를 대차게 묵살당하고도 이를 감춘 채 처음부터 등재에 덜컥 찬성해 준 윤 대통령과 정부였으니 또 그렇게 보면 이해가 되긴 한다.

국가보훈부가 밀어붙이고 윤 대통령이 임명한 김형석 관장이 뉴라이트 역사관을 가졌든, 아니든 그건 그의 자유다. 그러나 독립기념관의 상징적인 측면에서 김 관장의 역사관이 국익과 국민 정서에 정면 배치된다는 것도 사실임을 부인할 수 없다. 오죽하면 광복회장이 이번 독립기념관장 인사를 ‘헌법정신을 부인하는 반헌법적 행태’라고 했을까. 김 관장이 대체 그 자리에 어떤 능력으로 백범 김구 선생의 장손, 한국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의 후손을 제끼고 올라갔는지 모르겠으나 그에 관한 국민의 검증은 이미 끝났다. 자진 사퇴가 국민에 대한 도리다.

‘국익·실용·공정·상식.’ 윤석열정부가 내세운 국정운영 원칙이다. 하지만 이 정부는 이제 그런 말 할 자격을 잃었다. 헌법을 무시하면서 국가 정체성 확립을 말할 수 없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독재자를 칭송하면서 자유민주주의 확립 운운하는 건 말도 안 되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광복이 두려웠던 이들이 있었다. 일제의 충성스런 주구 노릇을 하던 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이다. 그들은 정부 수립 후 독재 정권의 비호 속 민족·민주·자주 정신을 철저히 유린해 왔다. 그들이 한사코 광복을 건국으로 바꾸려는 배경은 거기에 있다. 윤 대통령과 정부는 임시정부의 법통 계승을 포기하고 건국을 강조하는 인물에게 독립기념관장을 맡기며 스스로 그들과 동류임을 인정했다. 이런 나라인 게 착잡하다.

                                                                      <참고문헌>

  1. 이준섭,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금강일보, 2024.6.9일자. 2면. 



시청자 게시판

2,426개(4/122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120770 2018.04.12
2365 강남 압구정과 한명희1 사진 신상구 521 2024.10.26
2364 압구정과한명희 사진 신상구 268 2024.10.26
2363 <특별기고>독도의 날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신상구 306 2024.10.26
236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이 남긴 우리의 과제 신상구 301 2024.10.25
2361 배우 전무송 이야기 사진 신상구 334 2024.10.25
2360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학술회의 개최 공적 재평가 모색 사진 신상구 284 2024.10.24
2359 3·8민주의거기념관 2024.11.19일 정식 개관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 신상구 850 2024.10.24
2358 소년이 묻는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상구 313 2024.10.22
2357 석오 이동녕 선생 재조명 학술대회 신상구 283 2024.10.22
2356 노벨상 수상이 가져다 줄 베이스캠프 효과 사진 신상구 308 2024.10.22
2355 항일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길영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사상 신상구 308 2024.10.20
2354 한강 문학은 통치술에 대한 감각적 불복종 사진 신상구 325 2024.10.19
2353 조선의 K소설, 한강의 선배들 신상구 320 2024.10.18
2352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떠올려준 생각들 신상구 309 2024.10.18
2351 한강 노벨문학상, 한국 문화의 새 역사 신상구 307 2024.10.15
2350 ‘한강의 기적’에 분노하는 사람들 신상구 343 2024.10.15
2349 세계 문학계 '포스트 한강 누구냐' 주목 신상구 287 2024.10.15
2348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신상구 279 2024.10.13
2347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신상구 316 2024.10.13
234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신상구 301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