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세계 문화유산 백제 예술문화는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10.24 02:44

         세계 문화유산 백제 예술문화는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다  


 

   백제는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문화적 허브 역할을 하던 핵심 국가이다. 지난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는 한반도를 넘어 인류의 문화 자산이 되었다. 대체 백제의 어떤 면이 세계인을 사로잡았을까?


 

 

                                                       위태로운 정세 속 국가의 터전을 닦은 공간, 공주 공산성

 

   475년 개로왕 때에 고구려의 침공을 받은 백제. 급하게 피난처로 삼은 곳은 차령 너머 웅진(공주)이었다. 백제는 웅진을 도읍으로 삼고, 공산성을 쌓았다. 북쪽과 동서쪽은 금강을 자연방어선으로 삼고 산 능선을 따라 견고하게 성벽을 쌓아 천혜의 방어선을 구축했다. 한성기 몽촌토성과 사비기 부소산성과 동일한 입지, 2.4km의 동일한 규모를 보이고 있는 공산성. 한성 도읍 시기 백제의 문화적 기반은 위급한 정세 속에서도 그대로 웅진으로 옮겨졌다. 위기 속에서 새롭게 국가의 터전을 닦고, 백성들에게 안정감을 주려했던 당시의 상황이 공산성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검이불루 화이불치 儉而不陋 華而不侈’,(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 - <삼국사기> -

 

   백제 문화의 핵심을 알려주는 옛 기록이다. ‘검이불루 화이불치’에 걸맞은 아담한 규모의 공산성 내 왕궁 추정지. 이곳에선 여전히 발굴 작업이 한창이다. 공산성 내에서 발견된 연화문 와당을 비롯한 장식 기와들은 궁이나 사찰, 종묘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이 역시 이곳을 왕궁으로 추정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

 

   백제의 연화문 기와와 흡사한 디자인과 입체감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의 첫 번째 불교 사찰인 아스카데라를 설립할 때 백제에서 와박사 (기와 전문가)가 4명이 파견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일본의 아스카 시대의 문화는 백제의 문화를 받아들여 화려하게 꽃피었음을 알 수 있다.

 

                                                         도시 전체를 성벽으로 두른 최초의 사례, 부여 나성


   백제는 성왕 대에 이르러 또하나의 결단을 내린다. 바로 사비(부여)로 천도한 것이다. 당시만 해도 아무런 기반 시설이 없던 이곳에 성왕이 천도를 결심한 이유는 무엇일까?

   사비는 웅진에 비해 넓은 들판을 가지고 있었고 백마강이 있어 해외 진출과 교류에 유리했으며, 가야 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지역이었다.

   북방의 영토를 상실한 백제는 사비 천도를 통해 백제를 부흥시킬 원대한 꿈을 꾸었던 것이다.

 

   “사비 천도는 백제의 북방 영토 상실과 더불어서 그걸 보완할 수 있는 나름의 신국토 정책, 신국방 정책의 일환이었습니다.” - 박순발 충남대 고고학과 교수 -

 

   부여의 관북리 유적은 왕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가장 강력한 증거는 동서 35m, 남북 18.5m의 대형 건물터. 정연한 직선 도로의 흔적과 수로, 나무와 돌로 된 대형 저장고 등도 발견되었다. 또한 저장고 안에서는 복숭아, 참외, 살구, 다래, 오이 등의 씨앗이 다량 출토되었다. 고구려 침입으로 급하게 천도했던 웅진과는 달리 사비도성은 철저한 계획도시로 각종 도시기반시설이 체계적으로 건설되었다.

 

   계획도시 사비의 방어시설도 완벽에 가까웠다. 왕궁 바로 뒤에 부소산성을 쌓아, 방어 기능을 하게 함과 동시에 유사시 대피장소로 삼았다.

   사비도성의 방어 체계를 보여주는 특별한 유적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나성’이다. 도시에 외곽에 또 하나의 성을 쌓아 2중의 방어선을 구축했던 것인데, 이는 한반도 역사에서 주민이 사는 전체 도시를 성벽으로 두른 첫 번째 사례이다.


    일본에 전해진 백제의 뛰어난 건축 기술

 

   성을 쌓는 백제인들의 기술 또한 뛰어났다. 백제인들은 부엽 공법과 판축 기법을 사용했다. 부엽 공법은 나뭇잎이나 가지 등을 점질토와 함께 바닥에 깐 다음 성을 쌓는 기법, 판축 공법은 나무판자와 기둥을 이용해서 틀을 짠 다음 흙을 다져 쌓아올리는 기법으로 백제의 토목건축의 뛰어난 수준을 보여준다. 이러한 백제인의 건축 기술은 바다 건너 일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일본 후쿠오카 외곽의 다자이후. 664년 설치된 지방 행정부였던 다자이후의 도시 구조는 사비와 유사하다. 다자이후 관청의 배후에는 산성인 오오노조와 키이조가 있으며, 외곽에는 토성인 미즈키가 있다. 이는 왕궁 뒤에 배후산성인 부소산성을 배치하고 외곽에 나성을 쌓았던 사비성과 동일한 구조이다. 또한 미즈키에서 사용된 축조법 역시 백제의 판축 공법과 부엽 공법이 동일하게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뛰어난 금속 공예 기술과 사상의 극치, 금동대향로


   “우리가 왜 금동대향로를 백제 문화의 아이콘이라고 말하느냐. 거기에는 백제가 생각했던 이상적인 사상이 반영되어 있어요. 도교적인 것, 불교적인 것, 음양오행과 같은 사상이 녹아 있는데 그 사상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죠.” - 이병호 공주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

 

   1993년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금동대향로는 당시 백제의 금속 공예 기술과 백제가 생각했던 이상적인 사상이 어우러진 백제 시대 최고 걸작으로 꼽힌다.

   연꽃봉오리 형태로 위에는 봉황이 올라앉아 있고, 아래는 용이 받치고 있는 형태. 뚜껑에는 산봉우리가 층층이 겹쳐진 사이로 36마리의 상상의 동물, 악기를 연주하는 5명의 악사, 7명의 신선, 등이 변화무쌍하게 표현되어 있다.


   출처 : 10월 22일 (금요일 밤 10시 50분), 10월 23일 (토요일 밤 11시 40분)에 방송된 다큐 ON '세계유산, 백제‘ 



시청자 게시판

2,095개(4/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52 2018.04.12
2034 홍범도, 육사 롤모델 될 수 있나 사진 신상구 275 2023.09.02
2033 윤석열 정권이 생각하는 홍범도의 '죄목' 살펴보니 사진 신상구 319 2023.08.30
2032 경술국치일 113주년을 맞이하여 신상구 178 2023.08.29
2031 광복회장, 국방부에 “당신들은 독립영웅이 귀찮나” 공개서한 신상구 160 2023.08.29
2030 <특별기고>옥봉 이숙원의 생애와 업적을 추모하고 관광자원화해야 사진 신상구 168 2023.08.26
2029 <특별기고> 8·15 광복 7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행사 사진 신상구 155 2023.08.16
2028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 이화여대서 열려 사진 신상구 150 2023.08.16
2027 충북 옥천 출신의 김규흥은 상해임시정부를 파괴하는 밀정이었다 신상구 146 2023.08.09
2026 시기 김부용과 김이양 대감 묘 찾기 사진 신상구 224 2023.08.07
2025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화 하자 사진 신상구 126 2023.08.06
2024 천안 봉서초 단군상 무단철거 규탄 사진 신상구 187 2023.08.06
2023 <특별기고> 제헌절 75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174 2023.07.18
2022 단군(檀君)은 신화 아닌 대한민국 국조 (國祖) ​ 사진 신상구 156 2023.07.13
2021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준 일본의 지식인 오에 겐자부로 사진 신상구 203 2023.07.04
2020 국조 단군을 아시나요 사진 신상구 327 2023.06.30
2019 <특별기고> 대한민국 국조인 단군 왕검 탄강 제4392주년을 사진 신상구 204 2023.06.30
2018 역사와 사회정의 실현에 헌신하신 강만길 선생 사진 신상구 180 2023.06.28
2017 ‘한국학’과 상고사 복원의 대부 고 최태영 선생 신상구 115 2023.06.28
2016 <특별기고> 한국전쟁 73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 현황 사진 신상구 154 2023.06.26
2015 <특별기고> 6.15남북공동선언 발표 23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157 20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