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속(巫俗)의 허와 실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8.17 10:15


                                           무속(巫俗)의 허와 실

 

   무속은 간단하지 않다. 1만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원시 종교이다. 무속에는 3대 기능이 있다. 첫째 예언, 둘째 치병(治病), 셋째 안심(安心) 기능이다. 따지고 보면 이 3가지 기능은 제도권 종교의 역할과도 겹쳐지는 부분이다.

   무속과 제도권 종교는 그 기본 골격이 같다는 말이다.

   우선 안심 기능을 보자. 프로이드와 카를 융의 후예들이 이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무속에 가지 않고 심리상담소로 가게 되었지만 일부 한국 사람은 무속에 가야지 속이 시원해진다.

   20년 전쯤 우면산 아래에 사진점쟁이라고 하는 유명한 점쟁이가 있었는데, 여기로 점을 치러 가면 특징이 열댓명의 고객들을 한 방에 몰아 넣고 오픈 방식으로 점을 치는 행태였다.

방에 같이 앉아서 그 사람의 점괘, 즉 내밀한 사생활의 문제들을 모두 들을 수 있다는 게 민망하기도 하였다.

   ‘너 신랑은 바람을 피워야 사업이 잘돼, 열 여자도 부족해. 그러니까 너무 안달복달하지 마!’

‘당신은 몸에서 구린내가 나네. 혹시 정화조 사업 하는 사람이여?’

   ‘지금은 아들이 백수이지만 40대 중반이 되면 문서를 만져서 크게 돈을 벌게 돼. 좀 참고 기다려!’ 등등.

   점집에 앉아서 이런 점괘 이야기를 듣다 보면 나름대로 심리 치료가 된다. 다른 사람 고민도 나랑 비슷하구나! 하는 깨달음이다.

   치병의 사례를 보면 러시아의 라스푸틴(1869~1916)이 있다. 193㎝ 장신이었다. 러시아 황제의 아들 로마노프 황태자의 난치병을 고쳐 주어서 황실의 전폭적인 신임을 얻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무속이 가지고 있던 치병 능력을 현대화된 종합병원이 대체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예언 기능이 문제이다. 인공지능 AI가 아무리 딥 러닝을 돌려 보아도 인간의 운명을 예측할 수 없다.

   AI의 천적은 무당이다. 운명에 대한 욕구, 즉 운욕(運欲)은 여전히 시장에서 끊임없이 요구하는 강력한 수요이다. 시장의 수요가 있는 한 공급은 이루어진다. ‘미친X 널뛰는 팔자’인 사업가와 정치인은 강력한 수요자이다.

   물론 무당의 점괘가 다 맞는 것은 아니고 틀릴 때도 많다. 유능한 주식 전문가를 시장에서 가려내는 것처럼, 용한 점쟁이도 그 승률을 시장에서 가려낸다.

   무속의 문제점 사적 욕망에 치중한다는 점이다. 공심(公心)이 희박하다.

   ‘영발(靈發)’의 파워를 사리사욕을 채우는 수단으로만 이용하면 천벌을 받는다.

   권력과 가까운 무당이 공심이 없고 이권 챙기는 데 몰두하면 위험해진다.

                                                       <참고문헌>

   1. 조용헌, "무속의 허와 실", 조선일보, 2022.8.16일자. A25면.

시청자 게시판

2,116개(3/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463 2018.04.12
2075 한국이 그려야 할 선진국의 모습 사진 신상구 66 2024.03.04
2074 영화 '파묘'보다 더 기겁할만한 일제의 만행들 사진 신상구 44 2024.03.04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32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55 2024.03.03
2071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정말 필요 없어졌나 사진 신상구 40 2024.03.02
2070 3·1운동은 통일로 완결 사진 신상구 34 2024.03.02
2069 한국의 파브로 석주명 박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44 2024.02.29
2068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사진 신상구 63 2024.02.29
2067 &lt;특별기고&gt; 3.1운동의 원인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48 2024.02.28
2066 시부는 중국, 남편은 북한... 죽어서도 가족 못 보는 비운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81 2024.02.27
2065 ‘토종 박사’ 차미영 교수, 한국인 첫 獨 막스플랑크 연구소 단장 선임 신상구 56 2024.02.26
2064 풍수를 한국 전통지리학으로 정초한 최창조 선생을 기리며 사진 신상구 74 2024.02.26
2063 <특별기고> 2024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경 사진 신상구 90 2024.02.24
2062 대전 근대건축물 한암당 ‘흔적 없이 사라질 판’ 사진 신상구 95 2024.02.23
2061 한국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 사진 신상구 60 2024.02.22
2060 <특별기고> 만장의 의미와 유래 사진 신상구 65 2024.02.20
2059 北 언어학 설계한 천재 언어학자 김수경 이야기 신상구 131 2024.02.16
2058 보문산서 발견 1천년 불상 어디에 사진 신상구 73 2024.02.16
2057 간디가 말한 망국의 7가지 징조. 우리 사회 혼란 병폐 모순과 일치 걱정 신상구 98 2024.02.13
2056 [한국의 과학 명가] 한국 첫 화학박사 고 이태규씨 일가 사진 신상구 130 2024.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