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호중동학군 별동대장 이종만 선생의 승전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14 12:55

  •                                                                          호중동학군 별동대장 이종만 선생의 승전보

    조부이종찬(종만)모창녕성씨
                                         창녕 성씨였던 조모와 조부 이종만 선생.
       1894년 동학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첫 승전보를 올렸던 '대청전투'는 현재는 수몰된 대청호와 그 인근 지역에서 일어났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학계는 동학의 소중한 승전사를 연구할 수 있는 후속 사업과 대청전투에 참여했던 '호중동학군'을 국위선양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동학전란이 일어났던 1894년, 충청권에서는 그동안 우금치 전투를 대표적인 동학전투로만 알고 있었다. 그러나 문의 부근 금강 남안의 '지명'과 마달령 초입 '봉계곡'을 포함하는 '대청전투'는 그동안 우리가 잊고 있었던 승전의 역사를 간직한 의미있는 전투였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최신식 무기를 가진 일본군에 맞서 맨주먹으로 대전만의 저항운동을 보여줬기에 75주년 광복절을 맞는 이 시점에서 대전충청 지역민들에게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대청전투와 호중동학군에 대한 재조명은 이상면 서울대 법대 명예교수로부터 출발한다. 이상면 명예교수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호중동학군의 별동대장이었던 이종만(호적 이름은 이종찬 1870~1956)은 제 할아버지다. 1894년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대청지역 전투에서 승리를 견인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대청전투는 공주 우금치전투를 돕고 청주에 주둔하고 있었던 삼남최대의 군사기지 진남영과 일본군을 견제했던 치열했고 중요한 전투였다"고 말했다.
       대청전투가 벌어지던 당시 전봉군의 호남동학군과 손병희의 호북동학군이 연합해 천연 요새 공주성을 점령한 일본군과 전투를 앞두고 있었다. 일본군은 위기에 몰린 공주에는 서로군을 보내 호남호북 연합동학군을 토벌하고, 진남영에 있는 청주에는 중로군을 보내 호중동학군을 토벌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문의 지명에 근거를 둔 호중동학군이 10월 29일 옥천에서 출정해 마달령을 넘어 봉계곡에서 중로군의 지대를 격파했다. 또 호중동학군이 공주 지원에 나선 중로군의 후방을 교란해 결국 문의에 있던 일본군은 공주 지원을 하지 못하고 문의로 돌아와야 했다.
       이상면 교수는 "연합동학군이 공주성 진압작전에서 패전을 거듭한 것과 달리 호중동학군은 연이어 승전했는데도 여태껏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RheeSM이상면
    이상면 서울대 명예교수
       우금치 전투 이후 이종만 별동대장이 이끄는 호중동학군는 또 한 번 활약한다. 11월 14일 연산에서 포위 작전을 전개해 노성에 집결해 있던 전봉준 동학군의 퇴로를 열었고, 이들은 무사히 논산으로 후퇴할 수 있었다.
       이상면 교수의 조부이자 호중동학군의 별동대장이었던 이종만 선생은 동학전란 후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을 했다. 1914년 고국으로 돌아와 1956년 서거했다.

       이상면 교수는 "동학은 민국혁명의 시원이다. 동학은 의병운동과 독립운동으로 이어졌고, 1919년 3·1운동으로 이어져 1945년 조국 광복으로 이어진다. 광복절을 맞아 대청호에서 있었던 동학의 승전보의 역사가 알려질 수 있어 기쁘다"고 전했다.
       이상면 교수는 조모와 조부의 장례식에서 조문을 오던 동학동지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이 교수는 호중동학군과 조부의 이야기를 '신인간' 잡지에 '고요히 흐르는 금강'이라는 제목의 소설로 지난 7월호부터 24회 연재할 예정이다.  <이해미, "항일운동의 뿌리, 호종동학군이 있었다", 중도일보, 2020.8.14일자. 1면.>

    시청자 게시판

    2,111개(20/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280 2018.04.12
    1730 일본계 미국인 슈쿠로 마나베와 독일의 클라우스 하셀만, 이탈리아의 조르조 사진 신상구 453 2021.10.16
    1729 2021년 노벨평화상은 필리핀 마리아 레사와 러시아 언론인 드미트리 무라 신상구 366 2021.10.12
    1728 UC 버클리대 카드 교수 최저임금 조사연구로 노벨경제학상 수상 사진 신상구 382 2021.10.12
    1727 1960년 이후 역대 노벨 문학상 수상자 명단 사진 신상구 404 2021.10.11
    1726 문학평론가 유종호의 친일문제에 대한 4가지 소견과 문학평론가 정훈현의 반 신상구 419 2021.10.05
    1725 202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는 미국인 줄리어스·파타푸티안 교수 사진 신상구 426 2021.10.05
    1724 동북아역사재단 ‘중국 애국주의와 고대사 만들기’ 집중분석 신상구 366 2021.10.02
    1723 1920년 천부경의 세계화를 주도한 전병훈 선생 신상구 455 2021.10.02
    1722 노벨상 수상보다 중요한 것 사진 신상구 366 2021.10.02
    1721 고려대 이호왕 명예교수 노벨생리의학상 후보에 올라 사진 신상구 361 2021.09.24
    1720 한국에서 친일파 연구를 꺼려하는 3가지 이유 신상구 392 2021.09.21
    1719 시인 정지용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899 2021.09.11
    1718 광기의 사대(事大) : 송시열의 달력과 사진 신상구 484 2021.09.09
    1717 심훈 선생 85주기 추모행사 개최 사진 신상구 351 2021.09.08
    1716 별을 캔버스로 끌고 온 화가 김환기 사진 신상구 497 2021.09.01
    1715 친일파 연구의 선구자 임종국 선생의 연구방법과 역사관 신상구 357 2021.08.31
    1714 운산 조평휘 화백, 제19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 신상구 381 2021.08.30
    1713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자유로운 상상과 추리 사진 신상구 390 2021.08.29
    1712 AI가 장편소설 직접 썼다 사진 신상구 375 2021.08.26
    1711 총을 든 선비 박상진 사진 신상구 687 202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