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밭에서 건진 300년이 완성한 천년왕국 신라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8 03:26

                                                                  밭에서 건진 300년이 완성한 천년왕국 신라

동아일보

1981년 경북 경주시 조양동에서 발견된 38호 묘에서 발굴된 청동거울. 거울 뒷면에 새겨진 글자를 따서 ‘소명경’이라고도 불린다. 지름 8cm. 중국 한나라에서 수입된 점을 기준으로 이 무덤이 서기 1세기에 만들어졌다는 것으로 인정됐다. 국립경주박물관·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전공 교수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박혁거세가 기원전 57년에 신라를 건국했다고 기록했다. 이 기록을 불신하고 신라가 4세기 이후 세워졌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만만치 않았다. 그들은 고려 삼국사기보다는 3세기 중엽 찬술된 중국 사서 삼국지 동이전을 더 신뢰한다. 같은 시대를 두고 두 사서는 신라의 모습을 전혀 다르게 묘사했다. 삼국사기는 매우 강력한 국가로, 삼국지는 미성숙한 소국으로 서술했다.

   고고학계에서는 대체로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불신한다. 경주에서 4세기 이전의 궁궐, 왕성, 왕릉이 확인되지 않으며 그 시기 신라가 영남 각지를 정복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4세기 이전 유적이나 유물이 거의 발굴된 바 없었기에 심지어 4세기 이후 북방 유목민들이 남하해 신라를 세웠다는 주장까지 나왔다.

                         밭에 숨겨진 ‘초기 신라’

   이런 학설을 수용한다면 우리가 상식처럼 되뇌는 ‘천년왕국 신라’는 근거를 잃게 된다. 그러다 신라 초기사 300년을 되찾을 실마리가 우연히 발견됐다. 1978년 11월 경주시 조양동의 한 주민이 자신의 주택을 개축하던 중 토기 22점을 발견해 경주시에 신고했다.

   신고품을 감정한 한병삼 경주박물관장과 최종규 학예사는 그것이 그들이 오랫동안 찾으러 다닌 신라 초기의 유물일 가능성을 직감했다. 주변 밭에서 무덤이 발견되었다는 주민 신고가 잇따르자 경주박물관 연구원들은 이듬해 4월 중순부터 한 달 동안 발굴에 나섰다.

   두 달이 더 지난 뒤 착수한 2차 발굴에서 상황이 반전됐고, 새로운 무덤들을 찾아냈다. 지표에는 무덤 흔적이 전혀 없었으나 표토를 제거하자 네모난 구덩이 윤곽이 속속 드러났다. 그 속에는 목관이나 목곽 흔적이 확인됐고 각종 철기와 생소한 모양의 토기가 쏟아졌다. 특히 토기는 청동기시대 토기나 예전에 발굴된 신라토기와도 달랐다. 최 학예사는 이 토기에 ‘와질토기(기와처럼 무른 질의 토기)’라는 이름을 붙였다.

   조양동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은 무덤은 1981년 말 발굴된 38호 묘였다. 무덤구덩이 길이가 2.6m에 불과했지만 출토 유물의 수준은 대단했다. 무덤 내부에서 다량의 철기와 함께 중국 한나라에서 수입한 청동거울이 4개나 출토됐다. 최 학예사는 거울에 기준하여 이 무덤이 서기 1세기에 만들어진 것이고 주변에서 함께 발굴된 무덤들이 1∼3세기까지 조성된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견해가 국내외 학자들에게 수용되면서 미지의 세계로 남겨졌던 신라 초기 300년의 실상이 비로소 명확하게 밝혀졌다.

                                               목관 받침으로 쓰인 쇠도끼

동아일보

경주시 서면 사라리에서 발견된 130호 묘에서 발굴된 쇠도끼. 길이 27cm 내외의 쇠도끼 70점이 나란히 있었다. 철 소재이면서도 신라 초기에 화폐처럼 통용됐다. 국립경주박물관·한국문화재재단 제공


   1995년 경주시 서면 사라리에서 공장을 짓다가 유적이 훼손되자 영남문화재연구원 조사팀이 긴급 투입돼 조사를 벌였다. 교란토를 제거하자 야트막한 능선 전역에서 137기의 무덤이 드러났다. 특히 1996년 봄에 확인된 130호 묘는 다른 무덤과는 클래스가 달랐다.

   무덤구덩이 크기는 조양동 38호 묘보다 조금 더 큰 3.3m였다. 파들어 가기 시작하자 말 재갈, 쇠창과 함께 토기류가 확인됐다. 아래로 더 내려가니 망자의 유해에 착장했던 호랑이 모양 허리띠장식과 팔찌가 드러났고 그 주변에서는 칼집에 든 칼과 청동거울, 농기구 등이 무더기로 출토됐다. 특히 조사원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무덤 바닥에 쫙 깔린 쇠도끼였다. 길이 27cm 내외의 쇠도끼 70점이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었다.

   당시 사회에서 쇠도끼는 철소재로도 쓰였고 시장에서는 화폐처럼 통용되었으며 동아시아 각지로 수출되던 물품이었다. 이처럼 중요한 재화를 한 사람 무덤에 집중적으로 묻어주었다는 것은 당시 철 생산이 본궤도에 올랐으며 부와 권력을 독점한 인물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탑동 목관묘, 왕묘인가

동아일보

경주시 탑동 목관묘에서 발굴된 호랑이 청동 장식은 수입품으로 추정된다. 목관묘는 2세기 무렵 경주 일대 권력자의 무덤으로 보인다. 국립경주박물관·한국문화재재단 제공


    2000년대에도 경주 일원에서 수많은 발굴이 있었지만 조양동과 사라리 두 무덤을 뛰어넘는 신라 초기 무덤은 발굴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학계 일각에선 조양동과 사라리에 묻힌 인물들처럼 경주 외곽의 유력한 세력들이 힘을 키워 4세기 이후 경주 시내로 이주해 신라를 세웠을 것이라는 학설까지 나왔다.

   2010년 봄 마침내 경주 중심지에서 탁월한 수준의 목관묘 1기가 발굴됐다. 이 무덤이 위치한 곳은 월성 남쪽의 탑동이며 신라 초기의 중심지로 비정되는 곳 가운데 일부다. 한국문화재재단 조사팀이 민가 개축 부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이 무덤은 사라리 130호 묘보다 조금 작았는데도 출토 유물은 훨씬 뛰어났다.

   무덤 주인공의 생전 위세를 보여주는 동검은 옻칠된 칼집에 들어 있었고, 말재갈이나 쇠창 등 신라 제철소에서 만들었음직한 철기가 종류별로 출토됐다. 삼국시대 초기 각국 지배층이 권위의 상징물로 사용한 부채도 출토되었는데 몸체는 썩어 없어졌고 옻칠된 자루만 남아 있었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청동거울처럼 중국 한나라에서 수입한 물품이 많았다는 점이다. 함께 발굴된 호랑이, 곰, 개구리, 거북 모양 청동장식도 수입품일 가능성이 있다.

   이 무덤에 묻힌 인물은 현재까지의 자료로만 본다면 2세기 무렵 경주 일원 최고의 권력자였을 공산이 크다. 그러나 학계에서 그를 왕으로 지목하는 견해는 아직 없다. 대릉원 일대에 축조된 5세기 이후 왕릉에 비교해 규모가 보잘 것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위의 세 사례는 신라 초기 무덤 중 ‘톱 3’라 부를 만하다. 특히 탑동 1호 묘는 현재까지의 자료로 보면 왕의 무덤인지, 혹은 삼국사기에 기록된 6촌의 촌장 무덤인지 특정할 수 없지만 눈에 띄는 존재임은 분명하다. 신라 초기 중심지에 대한 체계적 발굴과 관련 연구가 축적되어 다시 찾은 신라 초기 300년 역사가 온전히 해명될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이한상, "밭에서 건진 300년이 완성한 천년왕국[이한상의 비밀의 열쇠]", 동아일보, 2021.8.18일자.



시청자 게시판

2,109개(2/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061 2018.04.12
2088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40 2024.03.17
2087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신상구 41 2024.03.17
2086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신상구 34 2024.03.15
2085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48 2024.03.14
2084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신상구 26 2024.03.14
2083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신상구 60 2024.03.14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33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28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40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35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37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30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36 2024.03.04
2075 한국이 그려야 할 선진국의 모습 사진 신상구 47 2024.03.04
2074 영화 '파묘'보다 더 기겁할만한 일제의 만행들 사진 신상구 34 2024.03.04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25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33 2024.03.03
2071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정말 필요 없어졌나 사진 신상구 34 2024.03.02
2070 3·1운동은 통일로 완결 사진 신상구 29 2024.03.02
2069 한국의 파브로 석주명 박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38 2024.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