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참뜻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4.05 16:42

                                                                              무위(無爲)’와 ‘무아(無我)의 참뜻

   노자(老子) 사상을 연구하고 강의하는 철학자의 연구실은 뜻밖에도 명품 매장이 즐비한 서울 청담동 한복판에 있었다. “어쩌다 보니 그렇게 됐다”고 했지만, 노자의 ‘도덕경’이 결코 은둔의 철학이 아니라는 그의 지론과 무관하지 않은 듯했다.

   최진석(62) 서강대 명예교수는 지난 연말 5·18 특별법을 비판하는 시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그가 새로 낸 책 ‘나 홀로 읽는 도덕경’(시공사)은 본업인 노자 철학으로 돌아가 ‘도덕경’의 독해를 도와주는 책이다. 대화체로 쉽게 풀어낸 40가지 문답 뒤에 ‘도덕경’의 원문과 해석이 펼쳐진다.

최진석 교수는“도덕경의 세계는 각성된 개인들이 주체”라며“생각하지 않는‘예능 국가’에서 스스로 생각하는‘예술 국가’로 도약하게 도와준다”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최진석 교수는“도덕경의 세계는 각성된 개인들이 주체”라며“생각하지 않는‘예능 국가’에서 스스로 생각하는‘예술 국가’로 도약하게 도와준다”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21세기야말로 노자 사상에 새롭게 주목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지난 근대가 본질과 실체를 중시하고 사람과 사물을 규정하던 시대, 공자의 사상에 어울리는 시대였다면, 지금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해 깊이 살펴야 하기 때문이죠.” 그는 노자가 한 측면만 본 것이 아니라 일(日)과 월(月), 명(明)과 암(暗), 유(有)와 무(無) 같은 ‘대립면의 상호 의존’을 인식한 고도의 통찰력을 지닌 사상가였다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현대인에게 필요한 통찰력이라는 것이다. “도덕경의 세계는 각성하고 생각할 줄 아는 개인들이 모여 이뤄집니다.”

   공자 사상이 중앙 집권적, 이념적 특성을 보였다면 노자는 지방 분권적이고 실용적인 사상가였다고 그는 말했다. “저는 마오쩌둥(毛澤東)이 공자에 가깝고, 덩샤오핑(鄧小平)이 노자에 가깝다고 봅니다.”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노자를 반(反)문명이나 현실 도피적 사상가로 보는 것은 틀린다고 했다. “그냥 자연 속으로 돌아가라는 게 아니라, 자연의 운행 원칙을 인간의 삶 속에서 제대로 구현하자고 한 것이죠. 그건 현실에서 성공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렇다면 노자는 오히려 성공 지향적, 문명 지향적 사상가였던 셈이다.

   ‘무위(無爲)’나 ‘무아(無我)’ 같은 개념도 ‘나를 없애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나를 규정하는 굳은 틀을 걷어낸 뒤 드러난 진짜 자기가 세계와 진실한 관계를 맺는 것’이 된다. “이미 정해진 가치와 이념을 통해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게 아니라, 눈에 보이는 대로 보고 나의 길을 찾는 것이 무위입니다.”

   노자의 눈으로 볼 때 지금의 우리 현실도 새롭게 해석된다. 최 교수는 “이 세상을 노자처럼 상호 의존적 대립 관계로 보기는커녕 이념 지향적으로 한 면만 보는 정치 세력이 문제”라고 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값이 오르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사이의 갈등 문제로만 보고 세금을 올립니다. 조세 공정성 훼손, 건설 경기 침체, 국민 불신감 증폭 같은 다른 여러 부작용을 함께 고려하는 능력이 결여돼 있는 것이죠.” ‘도덕경’ 3장에서 ‘저 헛똑똑이들이 과감하게 행동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사부지자불감위야·使夫智者不敢爲也)’고 질타한 것이 이 상황에 꼭 어울린다는 얘기다.

   최 교수는 대학원 박사과정 시절 거울 속의 자기 모습에서 행복한 표정을 읽지 못해 충격을 받고, 수교 전의 중국으로 건너가 2년 동안 방랑하며 ‘이념과 결별하고 나 자신을 찾았다’고 했다. 대학교수를 하다 ‘나만의 고유한 비린내가 사라지고 있다’는 느낌에 정년을 8년 남기고 교수직을 던져버렸다. 최근 정부를 비판한 뒤 ‘약간의 강한 반대와 폭넓고 부드러운 지지를 동시에 받았다’고 했다. 그는 ‘국가란 무엇인가’란 주제를 다룬 책 ‘대한민국 읽기’의 출간을 준비 중이다.

                                                                                      <참고문헌>

    1. 유석재, "지금 정권은 헛똑똑이...노자라면 질타했을 것", 조선일보, 2021.4.5일자. A25면.

공감 

시청자 게시판

2,095개(2/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60 2018.04.12
2074 영화 '파묘'보다 더 기겁할만한 일제의 만행들 사진 신상구 27 2024.03.04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19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20 2024.03.03
2071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정말 필요 없어졌나 사진 신상구 29 2024.03.02
2070 3·1운동은 통일로 완결 사진 신상구 23 2024.03.02
2069 한국의 파브로 석주명 박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28 2024.02.29
2068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사진 신상구 31 2024.02.29
2067 &lt;특별기고&gt; 3.1운동의 원인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36 2024.02.28
2066 시부는 중국, 남편은 북한... 죽어서도 가족 못 보는 비운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42 2024.02.27
2065 ‘토종 박사’ 차미영 교수, 한국인 첫 獨 막스플랑크 연구소 단장 선임 신상구 46 2024.02.26
2064 풍수를 한국 전통지리학으로 정초한 최창조 선생을 기리며 사진 신상구 61 2024.02.26
2063 <특별기고> 2024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경 사진 신상구 68 2024.02.24
2062 대전 근대건축물 한암당 ‘흔적 없이 사라질 판’ 사진 신상구 50 2024.02.23
2061 한국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 사진 신상구 50 2024.02.22
2060 <특별기고> 만장의 의미와 유래 사진 신상구 54 2024.02.20
2059 北 언어학 설계한 천재 언어학자 김수경 이야기 신상구 81 2024.02.16
2058 보문산서 발견 1천년 불상 어디에 사진 신상구 57 2024.02.16
2057 간디가 말한 망국의 7가지 징조. 우리 사회 혼란 병폐 모순과 일치 걱정 신상구 52 2024.02.13
2056 [한국의 과학 명가] 한국 첫 화학박사 고 이태규씨 일가 사진 신상구 82 2024.02.10
2055 1969년 한국인 첫 노벨상 후보 이태규 화학박사 신상구 56 2024.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