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보령 출신 추강 백낙관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16 18:57

                                                                                     보령 출신 추강 백낙관란

▲ <목멱산 봉수대 터> ⓒ한국학중앙연구원

    "불이야!" 고함 소리가 경복궁 여기저기서 터져 나왔다. 1882년 5월4일 밤이었다. 그러나 다행히 불은 경복궁에서 난 것이 아니고 맞은 편 남산에서 타올랐다. 그것도 남산 봉수대.

   남산 봉수대는 전국에 걸쳐 연결된 봉수대가 위급한 사항을 중앙에 전달하는 마지막 종점이니 궁궐 안은 물론 서울 장안이 무슨 변고가 났는지 웅성거릴 수밖에 없었다.

   그렇잖아도 이 무렵 전국 곳곳에서 소요가 발생하고 있는 터라 모두가 긴장할 수밖에 없었다. 궁궐 수비대 군인들이 남산으로 달려갔다.

   이 때 놀라운 일이 발생했다. 불을 지른 젊은이가 도망치지 않고 '내가 불을 질렀소!' 하고 군인들 앞에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자기 신원을 밝혔다.

   '나는 충청도 보령군 주산면 동오리에 사는 백낙관(白樂寬)이오. 어서 나를 체포하여 궁궐로 데려 가시오'

   이렇게 담대하게 목청을 높인 백낙관은 1846년(헌종12년)에 병조참판을 지낸 백홍수를 아버지로 하여 그의 고향 보령 주산에서 태어났다. 호는 추강(秋江).

   그는 성장하면서 조선이 점차 열강의 먹잇감으로 전락하는 정치 상황에 의분을 갖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의 침략이 노골화 되고 있는 데도 왕실의 무능과 권력 싸움에 날이 새고, 날이 저무는 세도정치에 염증을 느꼈다. 아울러 대원군과 민비(명성황후) 사이의 싸움이 나라를 벼랑 끝으로 몰고 가고 있는 상황.

   백낙관은 더 참지 못하고 1880년(고종17년) 임금에게 상소를 올렸으나 상소는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 채 체포 되고 만다.

#AD157958977192.ad-template { margin:auto; position:relative; display:block; clear:both; z-index:1; } #AD157958977192.ad-template .col { text-align:center; } #AD157958977192.ad-template .col .ad-view { position:relative; }

   얼마 후 백낙관은 풀려났으나 우국충정에 불타는 마음은 꺼질 줄 몰랐다.

   그래서 상소를 고종 임금에게 직접 전달되는 방법으로 남산에 불을 지른 것이다. 민씨 세도정치의 폐습과 일본의 야욕을 척결하는 상소문을 가슴에 지닌 채 마침내 그는 고종 앞에 나타나 불을 지른 연유를 말하고 바른 정치를 간청했으나 무능한 임금은 어쩌질 못했고 백낙관은 감옥에 갇히고 만다.

▲ 경복궁 근정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
▲ 경복궁 근정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

   백낙관이 상소를 올리려고 남산에 불을 질렀으나 아무 조치도 없이 투옥되었다는 소식은 구식 군대인 무위영과 장어영에 전해 졌고 이는 가뜩이나 신식 군대인 별기군에 비해 급료도 제대로 못 받는 등 차별대우에 불만이 높았던 터라 반란을 일으키는 또 하나의 기폭제가 되고 말았다.

   1882년 6월9일 구식 군인들은 일본 순사 등 일본인 13명을 살해하고 일본 관련 건물을 불태우거나 파괴했으며 군인들의 급료를 담당하는 선혜청 관아를 급습, 이 과정에서 중신 이최응이 죽임을 당하는 등 사태가 심각하게 번져 갔다. 이것이 역사에서는 '임오군란'으로 명명하고 있다. 명성황후는 궁녀의 옷으로 변장을 하고 궁궐을 빠져 나가 충북 장호원으로 급히 피난을 가야했고 하나부사 일본공사 등 공사관원들은 인천으로 도망갔다가 영국의 배를 얻어 타고 일본으로 돌아갔다.

   군인들은 옥에 갇힌 백낙관을 구출하고 '백충신’ '백충신’을 연호했다. 그렇게 구식 군인들에게 백낙관은 영웅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뜻밖에도 백낙관은 군인들에 의한 석방을 거부하고 '나를 투옥시킨 사람들의 정당한 판결에 의하지 않고는 나가지 않겠다'며 스스로 감옥으로 들어갔다. 때마침 임오군란의 배후 인물로 의심받는 대원군이 명성황후가 도망간 틈을 타 재집권을 하게 되자 백낙관을 정식으로 석방하였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청나라 군대가 진주하고 대원군이 그들에게 잡혀 가자 다시 권좌에 오른 명성황후에 의해 제주도로 유배를 간 백낙관은 1883년 8월29일 38세를 일기로 처형되었다. 애닮은 충신의 생애였다. (그의 상소문은 지금도 육군 사관학교박물관에 보관중이며 그의 고향 주산면 금암리에 그를 기리는 비가 있다.)

                                                                                            <참고문헌>

    1. 변평섭, "정치 상황에 의분… 임오군란과 보령 출신 백낙관 연결고리", 충청투데이, 2020.8.14일자. 9면.

   



시청자 게시판

2,114개(17/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323 2018.04.12
1793 우리의 전통놀이를 복원해 살리자 신상구 293 2022.01.03
1792 평생을 가난과 싸우면서 인간의 선함과 진실함만을 그린 국민화 사진 신상구 409 2022.01.02
1791 송구영신 인사 신상구 318 2022.01.01
1790 사라지는 상여(喪輿)…상엿집·상엿소리 문화재로 보존해야 사진 신상구 386 2021.12.31
1789 동화작가 권정생과 '종' 사진 신상구 323 2021.12.30
1788 한국 아동문학을 개척하고 처절하고 아름다운 삶을 살다간 권정생 선생 사진 신상구 307 2021.12.30
1787 2000년간 내려온 유태인의 사람 분별법 사진 신상구 456 2021.12.29
1786 대전 소제동에 근대역사문화공간 조성 사진 신상구 543 2021.12.28
1785 매력적인 글쓰기의 8S 법칙 신상구 297 2021.12.27
1784 중국에 바친 여자, 공녀(貢女) 이야기 사진 신상구 356 2021.12.26
1783 대전대 한상수 교수, 은사 한성기 시인 편지 모아 책 발간 화재 사진 신상구 367 2021.12.26
1782 단재 신채호 선생 탄신 141주년을 경축하며 신상구 414 2021.12.25
1781 2300년 전 거대 제국을 이룩했던 흉노의 비밀병기는 메신저 사진 신상구 550 2021.12.25
1780 카메라 사진과 견주어도 손색없는 조선의 초상화 사진 신상구 329 2021.12.24
1779 역사왜곡금지법 찬반논쟁 사진 신상구 656 2021.12.23
1778 한국과 호주의 동병상련·동상이몽 사진 신상구 314 2021.12.22
1777 초기 자본주의 문을 연 스콜라철학 사진 신상구 322 2021.12.22
1776 해발 734m의 육십령, 고대 가야 반파국의 철광석 로드 신상구 316 2021.12.21
1775 디지털 혁명 시대를 맞이한 AI의 미래의 탐험 여행 신상구 319 2021.12.21
1774 가장 이상적인 국제질서 유지에 적합한 자유주의적 국제주의 신상구 319 2021.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