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8.10 12:34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공유하기뉴스듣기프린트 
“함평 신덕 1호분 왜인 아닌 지역수장 무덤 가능성 높아”
30년 미공개 발굴조사 결과 이달 말 발표
발굴 조사가 진행 중이던 전남 함평 ‘신덕 1호분’ 전경(왼쪽 사진). 위는 둥글고 아래는 각이 진 열쇠고리 모양은 전형적인 전방후원분 형태다. 이곳에서 출토된 금동관(오른쪽 사진)은 다각형의 구획과 꽃무늬가 조합된 양식 등으로 미뤄 볼 때 백제 공인이 제작한 것으로 분석됐다. 유리구슬, 쇠비늘갑옷 등과 더불어 무덤 주인이 지역 수장 신분임을 보여준다.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임나일본부설에 이용될 우려로 인해 30년간 공개되지 않은 삼국시대 ‘신덕 1호분’ 발굴조사 결과가 이달 말 발표된다. 동아일보가 미리 입수한 발굴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고분 출토 유물에서는 백제와 왜(倭)의 문화가 혼재된 양상이 확인됐다. 조사 결과를 분석한 한일 고고학자들은 20, 30대 남성으로 추정되는 이 무덤의 주인이 지역 수장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한반도에 진출한 왜인이 묻혔을 것으로 보는 임나일본부설의 시각과 배치되는 것이다.

   1991년 3월 도굴 흔적이 발견돼 첫 조사가 이뤄진 신덕 1호분은 일본의 고대 무덤에서 흔히 발견되는 열쇠구멍 모양의 전형적인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앞은 네모지고 뒤는 둥근 봉분을 가진 무덤)’이다. 신덕 1호분은 이런 봉분 모양 탓에 고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의 근거로 쓰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하지만 조사 결과 부장 유물들에 백제와 왜 문화가 혼합돼 있어 이들과 교류한 영산강 일대 지배세력이 무덤을 만들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 무덤 주인은 20, 30대 남성

                                         신덕 1호분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국립광주박물관이 일본 연구자들까지 참여시킨 신덕 1호분 발굴조사 보고서를 전격 발간키로 한 건 6세기 영산강 일대 지배세력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고고학 증거들이 최근 발견된 데 따른 것이다. 임나일본부설의 한계가 명확해졌다는 얘기다. 앞서 박물관은 이 무덤을 1991년부터 2000년까지 네 차례 조사했지만 당시에는 조사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김낙중 전북대 교수(고고학)는 “6세기 전엽 영산강 유역의 현지 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 사실이 밝혀져 임나일본부설에 의해 왜곡 해석될 여지가 줄었다. 신덕 1호분 발굴조사 보고서 발간에 일본 학자들까지 참여시킨 건 국내 학계의 자신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말했다.


무덤 안에서 나온 ‘쇠비늘갑옷’. 가죽 끈으로 엮기 위해 뚫은 구멍이 나있다.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신덕 1호분에서는 무덤 주인의 높은 신분을 보여주는 금동관, 금동신발, 연리문 구슬, 중층 유리구슬, 큰칼, 비늘갑옷, 투구, 말띠꾸미개 등의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됐다. 무덤에서 출토된 치아 6점의 크기와 마모 정도를 분석한 결과 20대 후반~30대 중반의 남성이 묻힌 것으로 추정됐다.                                                                                                <참고문헌>                                                     1. 김상운, " 30년 만에 임나일본부 망령서 벗어난 신덕 고분",  동아일보, 2021.8.10일자.   1-2면.


시청자 게시판

2,114개(15/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113 2018.04.12
1833 우크라이나 사태, 우리 안보문제 재정립 기회 사진 신상구 289 2022.03.11
1832 책 바보 이덕무의 죽음과 깨뜨리지 못한 서얼 차별 사진 신상구 413 2022.03.03
1831 모든 것은 우리 탓이다 사진 신상구 504 2022.03.01
1830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 타계를 애도하며 신상구 313 2022.02.27
1829 [특별기고] 2022년 임인년의 민속과 국운 신상구 572 2022.02.26
1828 <특별기고> 항일독립운동가이자 민족사학자인 단재 신채호 선생 사진 신상구 619 2022.02.26
1827 |중국 내 조선족 사진 신상구 412 2022.02.23
1826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사진 신상구 315 2022.02.23
1825 윤행임의 8도 사람 4자 평과 재치 사진 신상구 481 2022.02.23
1824 초혼 단재 애곡(招魂 丹齋 哀哭) 신상구 309 2022.02.22
1823 꽃의 시인 김춘수의 생애와 문학세계 신상구 620 2022.02.02
1822 임강빈 시비(詩碑) 제막식을 다녀와 쓰는 편지 사진 신상구 359 2022.02.01
1821 금정 최원규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415 2022.02.01
1820 옥의 비밀 사진 신상구 385 2022.01.30
1819 핀란드 만하임과 한국 윤보선의 공통점과 상이점 사진 신상구 384 2022.01.30
1818 죽음 단상 신상구 327 2022.01.30
1817 이인성의 ‘순응’을 오마주한 강요배 사진 신상구 345 2022.01.26
1816 단양 '슴베찌르개' 세계 최고 구석기 유물 사진 신상구 350 2022.01.26
1815 1500년 전 고구려 벽화 속 메타버스 세계 사진 신상구 352 2022.01.22
1814 이봉창과 윤봉길 의사 의거 90주년을 기념하며 신상구 402 2022.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