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87년 전 일제가 매긴 문화재 지정번호가 사라진다. ​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7.01 02:15


“349건 모두가 소중한 국보”…1호 논쟁에 마침표

[중앙일보] 입력 2021.06.29 00:0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78) 1962.12.20 삼국시대

87년 전 일제가 매긴 문화재 지정번호가 사라진다.

‘국보 1호 서울숭례문’이 아니라 ‘국보 서울숭례문’이 되는 것이다.

문화재청은 이 같은 내용의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개정안을 29일 관보에 입법 예고하고 지정번호 개정 작업에 공식 착수한다.

국민 68%가 “1호가 가장 가치있다” 오해

“훈민정음을 국보 1호로” 청원 오르기도

‘1호 숭례문’은 1934년 시작됐다.

그 전 해 제정된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에 따라 조선총독부는 보물 153건, 고적 13건, 천연기념물 3건을 지정하면서 보물 제1호로 경성남대문을 지정했다.

해방 후 문교부 문화국은 1955년 같은 법령을 원용해 국보 367건, 고적 106건, 고적 및 명승 3건, 천연기념물 116건 등 총 592건을 지정했다.

분류는 보물에서 국보로 바뀌었지만 1호는 여전히 서울남대문이었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국가지정문화재는 전면 정비됐다.

오늘날과 같은 국보 1호 서울남대문, 보물 1호 서울동대문이 마련된 때다. 공식 명칭은 1997년 각각 서울숭례문과 서울흥인지문으로 바뀌었다.

사진 크게보기

국보·보물 지정 연도별 누적 현황

문제는 이 같은 지정번호 체계가 일본 강점기 때 만든 순서를 잇는 데다 문화재 가치 순위로 세간의 오해를 받아 왔다는 점이다.

2015년 국민인식조사 때 국보 1호의 의미를 가치가 가장 높은 문화재로 인식한다는 답변이 다수였다(68.3%). 2008년 숭례문 화재 땐 훈민정음(70호)을 국보 1호로 재지정하자는 국민청원이 잇따랐다.

국가지정문화재는 3월 31일 기준 총 4153건으로 국보(349), 보물(2253), 사적(519), 명승(116), 천연기념물(464), 국가무형문화재(149), 국가민속문화재(303) 등으로 나뉜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공감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시청자 게시판

2,109개(13/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064 2018.04.12
1868 ‘재야학자’ 학계 이방인인가 자유인인가 사진 신상구 463 2022.05.04
1867 위기의 충청언론 사진 신상구 402 2022.05.04
1866 일본의 끈질긴 근대화 시도, 결국 성공, 동양 3국 지 사진 신상구 458 2022.05.04
1865 <특별기고> 매헌 윤봉길 의사 상해의거 90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신상구 256 2022.05.04
1864 <특별기고>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생애와 업적과 리더십의 국제화 신상구 422 2022.05.04
1863 우크라 살던 유대인 대가족, 러시아 추방령에 고향 떠났죠 사진 신상구 327 2022.05.03
1862 히틀러 나치정권 프로파간다의 천재 괴벨의 주요 어록 신상구 300 2022.05.02
1861 정조의 사상 통제로 조선 학문은 몰락했다 사진 신상구 519 2022.05.02
1860 함평 최진석 기본학교 사진 신상구 1003 2022.05.01
1859 문화독립운동가 간송 전형필 선생 사진 신상구 500 2022.05.01
1858 매헌 윤봉길 의사의 농촌부흥운동과 독립운동 신상구 340 2022.04.27
1857 괴짜 소설가 이외수 타계 사진 신상구 298 2022.04.26
1856 과학기술과 경제성장, 그리고 민주주의 사진 신상구 523 2022.04.24
1855 소제동 철도관사촌 신상구 327 2022.04.21
1854 4.19혁명 62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 개최 현황 사진 신상구 422 2022.04.21
1853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에서 임시정부 수립 103주년 기념식 엄수 사진 신상구 366 2022.04.13
1852 ‘보협인석탑’ 천안으로 돌아와야 사진 신상구 413 2022.04.10
1851 6. 500년 모순을 뒤집은 갑오개혁 신상구 406 2022.04.08
1850 제주 4.3사건 국군 희생자 박진경 대령 이야기 사진 신상구 598 2022.04.08
1849 아우내 장터 독립만세운동의 한 주역, 김구응 열사 추모사업회 출범 사진 신상구 321 2022.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