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제8회 세계천부경의 날 기념행사 취소를 아쉬워 하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12.24 20:54

                                                          제8회 세계천부경의 날 기념행사 전격 취소를 아쉬워 하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문학평론가) 대산 신상구


                                                 

신상구.jpg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신상구

    세계천부경협회(회장:무상 이병희)가 우주 통합기운 창조와 환(桓)민족 혼(魂)의 부활을 목적으로 2013년 12월 13일(음력 11월 11일) 천부경 81자의 처음 구절인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에서 11을 마지막 구절인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에서 11을 취해 음력 11월11일을 세계천부경의 날로 정하고 해마다 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2020년 제8회 세계천부경의 날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어수선한 사회 환경을 고려하여 음력 11월11일(양력 12월 25일) 오전 11시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용계동에 위치하고 있는 세계천부경협회 본부에서 임직원만 모여서 '한밭천천제'라는 주제로 조촐히 기념행사를 갖기로 했으나, 강화된 코로나19 정부 정책에 따라 12월 23일 전면 취소하기로 했다.

 

    천부경은 글자 그대로 하늘의 이치에 부합하는 으뜸 경전으로 총 81자로 구성돼 있다.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天一一地一二人一三一積十鉅無匱化三天二三地二三人二三大三合六生七八九運三四成環五七一玅衍萬往萬來用變不動本本心本太陽昻明人中天地一一終無終一

 

    천부경은 숫자 6을 중심으로 상경 28자, 중경 24자, 하경 29자로 나누어진다. 

첨부경.jpg


    천부경 81자 중 숫자가 31개, 그 31개 숫자 중 1이 무려 11개나 분포하여 천부경을 우주 수학의 원전, 일태극 경전이라고 한다.

 

    천부경(天符經)은 하늘의 형상과 뜻을 숫자와 문자로 담아낸 조화경으로 우리 한민족 최고의 경전이지만, 아직까지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아, 대한민국 국민 중에서도 그 존재 여부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불행중 다행으로 국내외서 천부경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2019년 12월 말 현재로 단행본이 130여 종 출간되었고, 학위논문이 77건(석사학위 54건, 박사학위 23건), 일반 학술논문이 199건이나 발표되었다. 그리하여 이제는 젊은 사람들도 천부경에 대해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갖고 조사연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고운 최치원 선생 초상화                                                                                                                                                                                                                               천부경은 원래 9000년 전 고대 환국으로부터 구전으로 전해오다가 6000년 전 한국의 고대문자인 녹도문자(鹿圖文字)로 기록돼 전승됐다. 그 후 4400년 전인 단군조선 시대에는 전서(篆書)로 전해졌는데, 신라의 대학자인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 선생이 돌로 만든 비석에 전서로 새겨진 천부경을 발견하고 묘향산 석벽에 한문으로 번역하여 옮겨 놓았다. 그런데 단학회 제2대 회장을 역임하고『환단고기(桓檀古記)』를 지은 운초(雲樵) 계연수(桂延壽, ?-1920) 선생이 1916년 9월 9일 묘향산으로 약초를 캐러 갔다가 석벽에서 천부경을 우연히 발견하고 탁본해서 1917년에 단군 교당으로 원문을 보내 세상에 알려졌다.

 

    한민족 최고의 경전인 천부경 81자는 상수학적으로 천(天) · 지(地) · 인(人) 삼원조화의 홍익철학(弘益哲學)을 함축적으로 잘 표현해 주고, 우주 만물의 생성·진화·완성의 원리를 잘 밝혀주고 있다. 그리고 천부경은 우주 삼라만상이 1에서 나와 10까지 펼쳐졌다가 다시 1로 돌아간다는 원시반본(原始返本) 사상, 하늘(天) · 땅(地), 인간(人) 삼원이 모두 음양으로 작용해서 천지만물이 전개된다는 3수 원리와 음양 원리, 인간의 본심은 원래 태양처럼 밝고 환하여 천지(天地)와 하나가 된다는 태일사상(太一思想)을 담고 있다. 그런데 유사 이래 지구상 어느 나라 어느 학자도 81자의 경문으로 우주 만물의 생성·진화·완성의 원리와 인류 문화의 원형을 밝히지 못해 천부경은 동서양 학자들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천부경은 시의 특징인 단순성, 비유성, 상징성, 애매모호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다양하게 해석이 가능하므로 독자로 하여금 무한한 상상력과 창의성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천부경을 소재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여 창조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가치가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전병훈.jpg
한민족 최고의 경전인 천부경을 처음으로 세계에 알린 성암 전병훈 선생

  

    천부경은 1975년에 만주와 연해주의 항일독립운동을 주도한 대종교의 기본 경전으로 채택되었고, 성암(成庵) 전병훈(全秉薰, 1857-1927) 선생이 1920년 북경에서『정신철학통편』을 발간해 세계 29개국 약 150개 대학도서관에 보급하는 바람에 천부경이 국제화와 세계화가 되었다.

하이데.jpg
천부경의 無 정신에 괸심이 많았던 독일 실존철학의 대가 하이데커

  

    독일 실존철학의 대가인 하이데커(Martin Heidegger, 1889- 1976)가 1950년대에 프랑스를 방문한 고 열암(洌巖) 박종홍(朴鍾鴻, 1903-1976) 서울대 철학과 교수를 1957년 7월 26일 프라이부르크 인근의 자기 집으로 초청해 천부경의 의미와 해설을 요구한 바 있다. 그런데 박종홍 교수는 부끄럽지만 당시 서양철학 전공학자로 한국철학을 공부하지 않아 천부경의 내용을 모르고 있었기 때문에 답을 하지 못해 한국 철학을 서양에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고 한다. 지금은 국학원과 증산도가 천부경을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자주 개최하여 외국의 학자들도 천부경의 실체와 의미를 많이 알고 있다.

 

    제8회 세계천부경의 날을 계기로 하여 천부경이 초·중·고의 교과서와 대학의 동양철학 교재에 게재되어 모든 국민들이 천부경의 실체를 잘 알고, 천부경의 삼원조화의 홍익철학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하여 인류 공영과 세계 평화에 나름대로 기여해 주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음력 11월 11일 세계천부경의 날 기념행사가 앞으로 발전을 거듭해 국가 행사로 개최되고, 머지않아 천부경이 UNESCO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기를 열망한다.

 

                                                                     <참고문헌>

    1. 윤창대,『정신철학통편(전병훈선생의 생애와 정신을 중심으로)』, 우리출판사, 2004.6.20.

    2. 안경전,「인류 역사의 원형문화 원전, 천부경」, 사단법인 대한사랑,『대한사랑』2019년 가을호, 상생출판, 2019.10.2.

    3. 호연지기, 천부경을 전세계에 알린 전병훈의 정신철학통편, 알아두면 상식, 2020.8.20.

    4. 辛相龜, “제8회 세계천부경의 날을 맞아”, 중부매일, 2020.12.24일자. 15면.

    5. 辛相龜, “제8회 세계천부경의 날을 경축하며”, 대전문화신문, 2020.12.25일자.

                                                                       

                                                                                    <필자 신상구 국학박사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아호 대산(大山) 또는 청천(靑川), 본관 영산신씨(靈山辛氏) 덕재공파(德齋公派)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 “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 “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1994), 『아우내 단오축제』(1998),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2019),  『흔들리는 영상』(공저시  집, 1993),  『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1997) 등 5권. 

.주요 논문 : “천안시 토지이용계획 고찰”, “천안 연극의 역사적 고찰”, “천안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항일독립투사 조인원과 이백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 “한국 여성교육의 기수 임숙재 여사의 생애와 업적”, “민속학자 남강 김태곤 선생의 생애와 업적”, “태안지역 무속문화의 현장조사 연구”, “태안승언리상여 소고”, “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 “천안지역 상여제조업체의 현황과 과제”,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 “중봉 조헌 선생의 생애와 업적” 등 110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시부문 신인작품상, <문학사랑>·<한비문학> 문학평론부문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동양일보 동양포럼 연구위원, (사)대한사랑 자문위원, 평화대사, 통합논술 전문가

 

    

시청자 게시판

2,095개(13/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52 2018.04.12
1854 4.19혁명 62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 개최 현황 사진 신상구 409 2022.04.21
1853 대한민국 임시정부기념관에서 임시정부 수립 103주년 기념식 엄수 사진 신상구 355 2022.04.13
1852 ‘보협인석탑’ 천안으로 돌아와야 사진 신상구 403 2022.04.10
1851 6. 500년 모순을 뒤집은 갑오개혁 신상구 397 2022.04.08
1850 제주 4.3사건 국군 희생자 박진경 대령 이야기 사진 신상구 567 2022.04.08
1849 아우내 장터 독립만세운동의 한 주역, 김구응 열사 추모사업회 출범 사진 신상구 313 2022.04.08
1848 <특별기고> 제77회 식목일의 역사적 의의와 천안시의 산불방지 첨부파일 신상구 375 2022.04.06
1847 <특별기고> 아우내 장터 항일독립만세운동 103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첨부파일 신상구 367 2022.04.06
1846 세종대왕의 리더쉽 사진 신상구 470 2022.04.06
1845 판사직 내던지고 독립투사 변신 박상진 의사 사진 신상구 395 2022.04.04
1844 김부겸 국무총리, 제74주년 제주4.3추념식 추념사 신상구 302 2022.04.03
1843 시진핑 장기집권 꿈 흔들 신상구 406 2022.04.02
1842 논산에 유교문화 전문기관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완공 사진 신상구 397 2022.03.31
1841 日 검정 교과서 대다수 ‘독도=일본 땅’, 역사 왜곡 더 심해져 사진 신상구 278 2022.03.30
1840 대한민국 헌법학의 권위자 김철수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사진 신상구 371 2022.03.29
1839 인공지능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신상구 302 2022.03.25
1838 송익필과 파주 심학산 사진 신상구 583 2022.03.19
1837 3.8민주의거 62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신상구 387 2022.03.18
1836 시조 속의 역사 신상구 481 2022.03.18
1835 자연에서 찾아낸 첨단기술 신상구 319 20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