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천안 화축관(華祝館) 이야기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1.05.04 12:12

                                                                              천안 화축관(華祝館) 이야기


   천안이라는 도시의 이름은 매우 매력적이다. "하늘 아래 편안한 도시"라니 이 얼마나 멋지지 아니한가! 천안은 이름값을 하는 도시이다. 극심한 가뭄이나 풍수해 및 각종 자연재해가 거의 없다. 또한 70만 시민들의 고품질 삶을 위한 정주 여건이 매우 잘 조성된 도시로 유명하다.

    천안에는 과거에 화축관(華祝館)이라는 규모가 상당한 건물이 있었다. 이곳은 임진왜란 직후인 1602년에 건축된, 왕이 남쪽에 출타했을 때 머물던 조선의 별궁이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에 상당히 소실된 후 해방 이후에 완전히 소실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이곳에 머물렀다고 한다. 숙종은 화축관이 선왕대에 지은 건물이니 관리들이 함부로 그곳에 오가는 것을 금지하도록 명하였다. 영조는 천안에 머물 때, 화축관을 위해 친히 시를 짓고 "옛 추억을 회상하는 감흥"이라는 의미의 억석흥감(憶昔興感)이라는 친필을 새겨 화축관에 걸도록 하였다.

    화축관의 화축은 화봉삼축(華封三祝)의 줄임말이다. 이것은 장자(莊子)에 기록된 요임금의 고사에서 유래한다. 기록에는 "요임금이 화산(華山) 지역을 시찰할 때, 그 지역의 봉인(封人)이 장수, 부귀, 다남자(多男子)라는 세 가지로 요임금을 축복하였다"라고 하였다. 화산(華山)은 중국 역사에서 매우 특이하며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한 곳이다. 바로 현대의 중국인인 중화민족의 발원지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중국인의 원류는 화산 일대에 거주했던 화하족(華夏族)이었다. 봉인이란 국경을 지키는 관리인데, 고대에는 그 지역을 지배하는 토호 세력을 의미했다. 즉, 화봉삼축이란 중화민족의 본향인 화산의 지배자가 요임금을 세 가지로 축복하였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화축관이란 별궁의 명칭은 고사의 내용처럼 그 별궁에 머무시는 임금께서 장수하시고, 부귀하시며, 많은 왕자를 생산하시기를 축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그런데 화축관이 지어졌던 당시가 임진왜란 종전 직후라는 시대적 배경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천안은 당시 조선과 명나라의 연합군이 크게 활약했던 곳이다. 당시 천안의 북쪽인 직산에서 명나라군대는 전라, 경상, 충청 3남을 다시 함락한 뒤 한양을 향해 북상하는 왜군에 맞서 큰 전투를 벌였다. 이 직산 전투에서 명군은 대첩을 거두었는데, 이는 임진왜란의 종전을 결정짓는 신호탄이었다. 직산 전투에서 패배하여 기세가 꺾인 왜군은 경북 상주까지 후퇴한 뒤 다시는 북상의 기회를 잡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일본으로 모두 철수하였다.

    또 다른 별궁이 있던 경기도 수원 화성(華城)도 조명연합군이 임란 3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을 거둔 곳이다. 화성이라는 지명 또한 천안의 화축관과 똑같이 화봉삼축에서 유래하였다. 따라서 천안의 화축관과 경기도 화성이라는 명칭은 조선에 원군을 파병하여 임진왜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던 명나라에 대한 감사와 기념의 표현일 것이다. 즉, 화축관이 있는 천안과 경기도 화성은 중국이 조선에게 외침을 극복하고 장수와 부귀, 하늘의 별처럼 많은 후손이라는 세 가지 축복을 기원한 곳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화(華)는 중국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천안에는 이웃 중국과 더불어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인 국난을 극복하고 이를 기념하는 명칭인 화축관이라는 임금님이 머무시던 별궁이 있었다. 천안은 날로 시세가 확장되고 있다. 그러한 천안이 더욱더 매력적이며 경쟁력을 갖춘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이처럼 역사적 특별함이 담긴 유적들을 재현하는 것도 매우 큰 의미가 있다. 그렇다고 고증학적 복원이나 재현의 틀에 너무 얽매이지 말며, 무엇보다 천안시민과 대한민국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잡아 나가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이노신, "천안 화축관 이야기", 대전일보, 2021.5.4일자.

시청자 게시판

2,109개(11/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061 2018.04.12
1908 늙어가는 대한민국, 무엇이 문제인가? 신상구 303 2022.06.21
1907 25세 때 불후의 미완성 교향곡 남긴 슈베르트 사진 신상구 290 2022.06.21
1906 증산도 ‘상생월드센터(SWC)’ 착공 대천제大天祭 거행 사진 신상구 314 2022.06.19
1905 조롱당한 선조와 그 장자 임해군의 악행 사진 신상구 682 2022.06.19
1904 한국 문학, 노벨 문학상 수상 인프라 수준 신상구 320 2022.06.18
1903 고대의 축제 사진 신상구 319 2022.06.18
1902 6·10 만세 운동 사진 신상구 406 2022.06.11
1901 경제, 존경받는 기업인이 많아져야 한다 사진 신상구 391 2022.06.08
1900 <특별기고> 6월 호국보훈의 달의 역사적 의의와 제67회 현충 사진 신상구 357 2022.06.08
1899 윤서열 대통령의 제67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신상구 271 2022.06.07
1898 한암당 이유립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403 2022.06.05
1897 백가의 반란과 동성왕의 죽음 사진 신상구 441 2022.06.03
1896 연금개혁을 통한 복지의 지속가능성 확보 사진 신상구 321 2022.06.02
1895 30년간 천착했던 모네의 수련, 용산에 피다 사진 신상구 367 2022.06.01
1894 부여 ‘신동엽문학관’ 문학 성지로 자리매김 신상구 330 2022.06.01
1893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즐길 권리를 되찾아 줍시다 [1] 신상구 301 2022.05.28
1892 과거는 유교국가 떠받치는 인재풀, 조선판 능력주의 사진 신상구 306 2022.05.28
1891 ‘청주대 출신’ 성악가 연광철, 대통령 취임식서 ‘애국가’ 사진 신상구 440 2022.05.27
1890 인간적이라는 것 사진 신상구 314 2022.05.27
1889 1세대 건축가 김중업 탄생 100주년 사진 신상구 485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