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구라 기조 일본 교토대 교수
오구라 기조 일본 교토대 교수

    『群島의文明과大陸의文明』은 제1장서부터 제9장까지의 내용이 첫째는 그 언설이 독특하고 예리하기 때문이고, 둘째는 사상과 주장이 참신하기 때문이고, 셋째는 인격과 지향이 청랑(淸朗)하고 고상(高尙)하기 때문에 매료(魅了)된 것이다.


     그 제1장에서 2장까지를 방법론과 개념규정으로 보고, 제3장에서부터 7장까지를 생명론, 특히 제3의 생명론으로 보며, 제8장은 경제론이고, 제9장을 코로나 재화 이후의 전망으로 매듭짓는 것으로 나누어 적어본다.

     방법론에서 문명/ 문화/ 사상을 비교 조명해야 하는데, 거기에서 ‘문화민족주의를 배제하고, ①문명/ 문화/ 사상을 어떤 국가와 본질적으로 결부시키는 사고방식은 기본적으로 배제한다. ②문명/ 문화/ 사상을 국가나 민족 등으로 틀을 짜지 말고, 그 지역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성에서 이해하는 시좌를 구축한다. ③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가장 근저의 부분으로 항상 되돌리면서, 그 인간이 만드는 다양한 결말의 상호관계를 인식하여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와 같은 비교문명적·비교문화적·비교사상적 사고는 텍스트의 내부만을 탐색하는 것으로는 소용이 없다. 역사학, 경제학, 법학, 사회학 등의 많은 지혜와 교감하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 그것들 사상과 철학을 만들어낸 하부구조에의 이해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나에게는 큰 가르침이다.

     그 다음에 ‘군도문명과 대륙문명’의 개념인데, 군도문명을 해양문명과 굳이 구별하는 것은 일본이 독특한 문명과 사상성을 이룬 것이, 자연과의 조화라는 지정학적인 요구조건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やまと(大和=일본의 다른 이름)의 화(和)로서, (중국)대륙의 합치지 않으면 안 되는 합(合)의 이념과 구별하려는 것이라, 합당한 비교라고 보았다. 일본을 ‘자연재난의 보고’라서 중국시스템에 동화되지 않았다는 해석도, 특히 우리 한국의 경우와 비교하여 얼마나 은유적인 것인가? 역시 동아시아를 통(通)하고 통하게 하는 혜안(慧眼)이고 시각(視覺)이라고 생각하였다.

    제3장 군도문명과 ‘논어’의 애니미즘, 제4장 제3의 생명, 제5장 세 가지 생명으로 문명을 해독함, 제6장 세 가지 생명으로 일본사상사를 해독함, 제7장 일본문화와 미의식인데, 이것들을 통틀어 핵심은 ‘제3의 생명’이라는 오구라 철학론의 가장 독특한 개념이다. 내가 그 ‘제3의 생명’론을 들은 것은 3년 전이었는데, 그때 나는 그것을 잘 알아듣지 못하였었다.

    이번의『群島의文明과大陸의文明』에서 ‘애니미즘과 제3의 생명’을 4개장에 걸쳐서 곡진하게 논술하고 있어서 그것을 이해할 수 있었는데, 공자(孔子)의 인(仁)도 제3의 생명이 빚어낸 보람이며, 맹자(孟子)는 공자의 사상을 역전시켰다고 하는 것 등은 얼마나 참신한 탁견인가?

    애니미즘·샤머니즘·일신교를 세 가지 생명론으로 풀이하고, ‘제1의 생명’은 인간과 보통 우리가 생명이라고 하는 것, 곧 육체적 생명과 생물학적 의미의 생명이다. ‘제2의 생명’은 인간이 유한한 육체적 생명에서 오는 허무감이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절대적 생명의 비원(悲願)에서 비롯된 절대적 생명에의 동경과 소망으로, 인간은 어느 민족이든 종교로서 정신적(spiritual) 생명, 영(靈)의 생명, 제1의 생명의 유한성에 대하는 영생(永生)의 생명을 그리게 되었는데, 그것이 ‘제2의 생명’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새로운 논리인 ‘제3의 생명’이란, ‘개인적 육체적 생명’도 아니고, ‘영생하는 영적인 생명’도 아닌 것이 우리에게는 있는데, 인류의 사상사(思想史) 종교사(宗敎史)에서 거의 무시되어 왔고, 혹은 주제화 초점화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 사람과 물건 ‘사이’, 어떤 경우에는 물건과 물선 ‘사이’에 우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는 ‘생명’, 그것을 ‘제3의 생명’으로 한다는 것이다.

    언제 어떻게 나타나는지는 알 수가 없지만, ‘가엽다’나 ‘화기애애하다’로 표현하여온 ‘상태’, 좀 더 광범위하게 말하면 미(美, 아름다움)라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문화의 미의식에서 ‘もののあはれ=가여움’, ‘わび=스며드는 정취(情趣)’, ‘さび=한적(閑寂) 또는 청한(淸閑)’ 등은 우리가 말하는 ‘느꺼움’의 차원이다.

    그분이 자신 있게 구사하는 한국어의 ‘아름답다’를 어근·어간·어미의 어원적으로 분석하면서 일본의 미의식을 말하는데, ‘아름답다’에서 아람(實⟶球)·알다(知)·알(卵)-알차다(充實)-차다(滿) -참(眞)으로 연상하고, 그래서 우리의 ‘아름답다’는 생명, 완벽, 공(球), 진리, 지식 등의 관념이 있다고 설파한다. ‘아름답다’는 말로 표현되는 한국의 미의식에는 보편성에의 강력한 지향성이고, 그와 함께 현저한 도덕지향성이라는 추리에, 나의 의식세계를 그분이 이렇게 꿰뚫고 있다는 생각에서 흠신(欠身)했다.

    또 ‘くはし’와 ‘곱다’가 ‘예쁘다’는 뜻으로 동근(同根)이라고 하면서, ‘곱다’를 섬세한 미를 나타내는 말이며, ‘くはし’의 어근을 kuph라 하고 ‘곱다’의 어근 kop와의 유사성을 들고 있는데, 그것의 개별성과 시간성의 미라고 하는 것은 우리를 깨우치는 것이다.

    그리고 ‘아름답다’에서 본 ‘아람’과 ‘알’의 형상인 둥근꼴의 공(球)은 일본어에서는 ‘たま(玉)’인데, 그것은 일본의 고대어에서는 사람과 사물의 안에 있으면서 그 본질적인 생명력에 내장하는 ‘정령(精靈)’이라는 의미를 가졌다고, 언령(言靈)/ 진혼(鎭魂)=영혼(靈魂)을 예거(例擧)한다.

    그리고 ‘たま’는 ‘-しい(←ひ)’라는 접사를 붙이어 ‘たましい’가 되어서 ‘혼(魂, soul+spirit)’을 뜻하는 말로 쓰이는데, ‘아름답다’의 ‘알’이 음성(陰性)모음으로 전성하면 ‘얼’이 된다고, 그러면 일본어의 ‘たましい’와 한국어의 ‘얼’은 뜻에서 근접성을 가지게 된다고 해석한다.

    제8장의 경제론을 열었을 때에서는 의아해했다. 이분이 경제까지 관심하고 계신가? 학고. 그러나 이내 수긍했다. 철학적으로 보는 관점이기 때문이다. 일본경제의 침체를 보고, 소련의 붕괴를 보고 논단하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두 가지 축을 물(物)자본주의와 돈(貨幣)자본주의로 보면서, 물물교환의 가치시대에는 생명유지라는 애니미즘 곧 ‘제3의 생명’이 존중되었는데, 돈의 자본주의 시대가 되면서 생명유지가 아니라, 잉여(剩餘)의 활동과 나아가서 선진국에서는 취미나 여가를 위하여 대량생산과 유통을 하게 되었다는 것, 여기에서 일본 경제의 침체는 당연한 것이라는 본다.

    공산주의는 왜 실패하였는가를 다루어서, 유물론(唯物論)이 생명도 물건도 물질이고, 모든 것은 물질적 기반으로 환원되고 설명하는데, 그것이 ‘제2의 생명’이다. 권력은 그 물질적 기반으로부터 생기고, 그 정신이야말로 공산주의 혁명이라는 ‘제2의 생명’으로서, 권력에 무한정의 힘을 부여하게 된다. 그 가장 성공한 나라가 북조선인데, 김일성이 국민에게 준 사회정치적 생명은 영원히 산다고 하는 것, ‘제2의 생명’이 비대하여진 까닭으로 국민의 ‘제1의 생명’은 피폐하고 마모하여서 국민의 생명유지라는 점에서 실패하여 붕괴직전이지마는, 국가의 생명은 그런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제도 때문이라는 것이다.

    나는 공산주의의 실패를 ‘인간의 의욕=성취욕을 간과(看過)한 데’서 보아왔는데, 오구라 선생은 국민의 ‘제1의 생명’ 유지라는 명목으로 국가의 ‘제2의 생명’을 강화하여, 그 근본인 ‘제3의 생명’을 철저하게 멸시 내지 도외시한 데 있다고 한다. 마르크스가 물신숭배(物神崇拜)라는 말로 ‘제3의 생명’을 적대시한 일이 실패의 연원이라고 한다. 섹스피아의 큇프로쿠(quid pro quo=something for=되갚음/ 대상물)를 나쁜 것으로 비판했는데, 그것이 곧 ‘제3의 생명’의 근원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일본의 경제는 지금 ‘가진 자는 더욱 더 소비하지 않고, 안 가진 자는 더욱 더 싼 것을 산다.’는 20년의 풍토로 자본주의를 붕괴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곧 우리의 삶을 부정하는 일이라고 한다.

    그 해결책은 오직 하나, 경제활동과 생명과의 관계를 재정의(再定義)하는 일이라 하고, 일본경제의 지난 잃어버린 30년의 결점은 ‘물(物)에 대한 감성의 상실’이니, 이제는 생(生)/ 생명이 빛나는 경제를 위한 두 가지로—하나는 물의 생생한 단면을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이(間)철학’에서, 사(私, 제1의 생명)도 아니고 공(公, 제2의 생명)도 아닌 공(共, 제3의 생명) 곧 공공(公共)하는 경제행위— 가야한다는 것이다. 일본의 경제를 근원적으로 부활시키는 것은 물의 생생함을 느끼는 것과 교환/ 보수의 순간에 ‘제3의 생명’을 나타내는 일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한국경제에서는 무관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우선 젊고 어린 세대들이 지금 물건 아까운 줄을 모르고 자라고 살고 있지 않는가?

    이제 코로나 사태라는 지구촌 미증유의 환난을 격고 있는 세계를 생각하면서, 그 이후의 정세를 살펴나간다. 그 환난을 겪으면서 모든 나라들이 ‘제나라’라는 경계로 사물을 생각하게 되었는데, 하나는 국경을 개폐(開閉)하는 고민, 또 하나는 UN이나 EU나 WHO 등 주권국가를 넘는 조직이 무력함을 드러냈다는 자각에서, 주권국가만으로 사물을 생각하게 되었다는 변화의 불가피성을 말한다.

    강대국도 선진국도 그 허울과 너울이 적나라하게 벗겨지고 말았는데, 미국/ 러시아/ 중국 등 강대국이란 무엇이며 선진국이란 무엇인가를 분석하고, 더는 그 허망에 의존할 수 없다고 한다. 이제 ‘영향력 있는 국가’란 상대방을 끌어당기는 비전인 ‘soft power’ 곧 ‘제3의 생명’을 가져야한다는 것이다. 그것도 ‘제3의 생명’만으로는 안 되고, 개별적인 군사력 곧 ‘제1의 생명’과, 보편적인 이념적 파워 곧 ‘제2의 생명’과, 상대방을 끌어당기는 ‘사이’의 힘 곧 ‘제3의 생명’을 모두 강대하게 갖춘 주권국가라야 영향력 있는 국가라고 말한다.

    이제는 ‘붉은 시대’도 지나갔고, 그러면 동아시아에서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라는 구도는 동일화할 수 없으며, 세계가 중국적인 강권과 초월적 이념에 의하여 통어(統御)된다면, 일본은 인류를 위하여 스스로의 귀납주의적 경험주의적 반초월주의적 세계관의 존속‧ 갱신을 짊어지고, 몸을 던져서 군도성(群島性)을 발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군도문명은 대륙문명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포섭하고 포월(包越)하는 것뿐이다. 결코 일본의 민족주의에서가 아니라, 동아시아의 새로운 문명을 일본이 이끌지 않고 어쩌겠는가라는 것이다.

     (이웃에 한국이 있어서) 한국은 어찌되고 있는가? 한국은 군도이면서 해양국가라는 말을 하지만 군도국가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더구나 지금의 문정권은 주체성을 북한에 접근하려 하기 때문에 점점 군도성에서 멀어져 간다. 문명론적인 의미에서도 지금의 한‧ 일은 떨어져 가는 중이라고 본다.

    한국은 ‘절대적인 진리’를 희구하는 니라이다. 한국의 정치방법은 중국의 ‘하달(下達)’식이다. 한국의 민주화운동은 아래에서 위로 저항한 것이나, 그것도 애니미즘은 아니었다. 한국은 미국중심의 세계적 가치를 자국에 가져오는 인재가 힘을 얻고 있다. 왕년의 한국 지성인은 보편주의적인 세계관을 가진 주체들이었고, 패권주의나 부정의에 대하여 강력한 비판정신을 가진 참다운 지성이었으나, 지금의 주체들에게서는 그러한 비판정신이 보이지 않는다고 안타까워한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만이 아니라 동아시아 전반으로 퍼져가고 있는데, 이것을 ‘동아시아의 위기’라고 우려하는 것이다.

    그래서 오구라 선생은 ‘공창하는 동아시아의 연대’에 희망을 가지는 것이고, ‘논어’도 새로운 각도에서 본 것처럼, 미래도 어디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새로 함께 만들고, 도덕도 누구를 본뜨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새로 함께 만들며, 참다운 논어의 방법은 귀납적으로 ‘사이’에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공(公)’과 ‘사(私)’를 매개하는 ‘공(共)’ 곧 모두 함께 만들자는 세계관이, ‘공창(共創)’이라는 것이다.

    ‘진리’나 ‘생명’만이 아니라, ‘자아’라는 것도 속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사이에서 나오는 것’이니, 그것이 바로 논어와 군도문명이라고 생각이라고 한다. 이 4반세기 동안 일본에서 ‘공공철학(公共哲學)’을 제창하고 있는 김태창 박사는 ‘내발(內發)’이 아닌 ‘간발(間發)’이라고 하는데, ‘진리’와 ‘공공성’과 ‘도덕’과 ‘생명’과 ‘나(自我)’는 내면이나 외면이나 초월적인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이에서 나오는 것’이므로, 이제부터의 사회를 만들기 위한 강력한 방향성이 여기에 있다고 한다.

    ‘사이의 철학’이라는 것은 ‘사이의 생명’인 ‘제3의 생명’을 어떻게 구현할까 하는 철학이다. 곧 ‘공창(共創)’이라는 것이다. 코로나 이후 세계에 이 ‘사이’의 가치가 인식될 때, 그 선구적 구실을 할 수 있는 책임이 일본에 있지 않겠느냐고 맺고 있다.

     책을 덮고 느끼는 것은 현하(懸河)의 웅변을 듣고 강력한 어조와 정곡을 찌른 정론에 감복하여 자리를 뜰 수 없는 것과 같았다. 공감으로 자신을 깊이 뉘우치고 뉘우쳤다. 그리고 오구라 선생의 가장 강력한 메시지는 우리가 갈구하는 동아시아의 공통가치, 곧 공복(共福)을 향한 지남(指南)이고 빛(光明)이라고 생각한다.

     타의에 의하여 이 졸고를 폈으나, 나의 소졸함으로 오구라 선생의 넓고 크고 높고 깊은 학문적 서술이 오독-오판-왜곡으로 손상될까 두려운데, 제발 그런 착오가 적었기를 바라면서, 그분의 구도적 탐구의 전도가 더욱 탄탄하고 그 결실이 풍성하기를 기도한다. 정치와 경제와 사회의 지도자라는 위인(爲人)들이 사람을 잡고 질서를 파괴하는 풍랑(風浪) 속에서, 양심과 진리로 인간사회의 정도(正道)를 찾아 깨우치는 오구라 선생의 거조(擧措)에 건강한 정진만이 이어지기를 기도한다. 오구라 선생의 저술의 행간(行間)에서 넘치는 에너지를—그 은유와 함축이 무엇인지 폭발할 것 같은 힘— 보는데, 오구라 선생의 연구와 봉사가 ‘미래공창(未來共創)하는 동아시아에’의 소망 그대로 성취되기를 기도한다.

    이상이 내가 오구라 선생의 신간 ‘群島의文明과大陸의文明’을 읽은 소감인데, 꼭 하나 덧붙이고 싶은 말이 있다. 이 책에는 방법론으로 시작하여 끝까지 시종일관 한국과 한국인 학자의 주장을 비교 인용한 것이 적지 않다. 우리 학계에도 좋은 자극이 될 것으로 여겨서, 우리말로 번역된 책이 나와 널리 읽혀지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1. 유성종, "오구라 기조(小倉紀藏) 교수의『群島의文明과大陸의文明』을 읽고서", 동양일보, 2021.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