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2.02.23 02:40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中사학자, 北中고고발굴대 일기서 “北, 낙랑군 위치 中서 은폐 의심”

北, 고조선 성터 탐색서 갈등 시작… 몽골까지 고조선 영토 상정하려 해

양국, 공동보고서 안 내고 갈라서… 中은 ‘고고발굴대 역사’ 지워버려

동아일보

1963∼1965년 북한과 중국이 공동 조직한 ‘조·중고고발굴대’에서 중국 측 연구대장인 고고학자 안즈민(오른쪽). 강인욱 경희대 교수 제공


   “북-중이 역사 문제에 서로 다른 관점을 갖고 있다. 민족 감정으로 인한 문제가 생겼다.”(1963년 4월 23일 안즈민의 일기)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한중 역사 갈등이 1960년대 이미 시작됐다는 사실이 중국 고고학자 안즈민(安志敏·1924∼2005)의 일기를 통해 밝혀졌다. 1963∼1965년 북한과 중국이 공동 조직한 조·중고고발굴대에서 중국 측 연구대장을 맡았던 그의 일기에는 고조선사를 놓고 북-중이 벌인 신경전이 담겼다. 2020년 중국에서 출간된 안즈민의 일기가 국내에 소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는 18일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와 고조선부여사연구회가 공동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안즈민의 일기를 통해 북-중 고대사 갈등의 기원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했다. 중국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출신인 안즈민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발굴을 주도한 중국 고고학의 초기 세대를 대표한다.

   1963년 공동 발굴대를 조직하는 데 뜻을 모았던 양국은 왜 틀어졌을까. 강 교수는 북한 측 사학자 리지린(李址麟·1915∼?)이 고조선 성터를 찾아 나서며 갈등이 시작됐다고 봤다. 1963년 9월 리지린은 중국 랴오둥(遼東) 지역 하이청(海城) 성터를 조사하면서 해당 지역을 고조선의 도성인 ‘왕검성’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측이 “명나라 성터”라며 맞섰으나 북한은 고조선 성터를 찾으려는 의중을 숨기지 않았다. 이후에도 북측은 랴오둥뿐 아니라 몽골까지를 고조선 영토로 상정하려 했다. 이러한 정황은 안즈민의 일기에 기록됐다.

    1963년 9월 27일 안즈민의 일기에는 북측 학자들이 “중국이 낙랑군의 소재를 알고도 숨기는 거 아니겠느냐”며 중국 측과 논쟁한 정황도 담겼다.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멸망시킨 뒤 중국의 한무제(漢武帝)가 설치한 군으로, 낙랑군의 위치는 고조선 강역을 규명할 핵심 열쇠였다. 북한이 고조선 강역을 규명하기 위해 발굴대를 조직했다는 의중이 명확히 드러난 셈이다. 북한의 의중을 알아차린 중국은 통역원을 정보원으로 두고 감시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낙랑군의 위치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신경전의 중심에는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양보할 수 없는 양국 갈등이 존재했다. 북한이 고조선사에 집중하게 된 건 1956년 소련이 출판한 ‘세계통사’ 때문이다. 이 책에는 중국에서 온 낙랑군이 한반도에 유입돼 한반도 역사가 시작됐다는 일제식민사관 서술이 그대로 담겼다. 북한은 공산주의 종주국 소련의 역사 인식이 북한의 자주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다. 이에 북한은 고조선 도성이 평양에 있다는 당대 일부 북한 학계의 주장에서 벗어나 왕검성이 중국 랴오둥 지역에 있었음을 입증해 민족사의 자주성을 세우려 했다.

동아일보

1964년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서 조·중고고발굴대가 무덤을 발굴하고 있다. 당시 현장에서 발굴된 ‘누상(樓上) 무덤’은 기원전 7∼5세기경 고조선의 유적으로 조사됐다. 무덤에서는 고조선대 유물인 비파형 동검 등이 나왔다. 강인욱 경희대 교수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랴오둥 지역에 고조선의 흔적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았다. 중국은 발굴대가 랴오둥에서 발굴한 고조선 유물 ‘비파형 동검’을 만주 청동기 시대 유물로 규정했다. 비파형 동검이 고조선 유물이라는 사실조차 합의하지 못한 채 양국은 1965년 공동 보고서도 내지 않고 갈라섰다. 이후 중국은 랴오둥 지역에서 발굴된 고조선 유물의 존재를 은폐하기 위해 조·중고고발굴대를 역사에서 지워버린다.

   고조선 강역을 둘러싼 한중 고대사 분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강 교수는 “변방을 다민족의 역사가 아니라 한족 문명의 역사가 확산된 곳으로 규정하는 중국의 팽창적 역사관은 60년 전 북한과 고조선사를 둘러싼 분쟁의 반작용에서 본격화됐다”며 “조·중고고발굴대는 한중 고대사 분쟁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1. 이소연, "‘고조선 강역’ 한중 고대사 전쟁, 1960년대 이미 시작됐다", 동아일보, 2022.. 2.. 21일자.  A20년



시청자 게시판

2,114개(10/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280 2018.04.12
1933 블랙홀 100년 만에, 이론에서 실재가 되다 사진 신상구 264 2022.07.18
1932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사진 신상구 483 2022.07.18
1931 김진표 국회의장, '제74주년 제헌절' 경축사 전문 신상구 300 2022.07.18
1930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꼽은 늙지 않는 세가지 방법 신상구 375 2022.07.16
1929 세계화 시대 저물면 대한민국은 몹시 큰 피해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사진 신상구 253 2022.07.16
1928 신선이 노는 복되고 신성한 땅, 경주 낭산 사진 신상구 304 2022.07.15
1927 대전은 스토리의 보고 신상구 278 2022.07.14
1926 가짜 뉴스를 만들어서라도 가지고 싶었던 권력 사진 신상구 298 2022.07.13
1925 대전의 역사 이야기와 도시 정체성 사진 신상구 251 2022.07.13
1924 윤동주·장인환 등 독립유공자 156명 호적 생긴다 신상구 283 2022.07.12
1923 中도 원조 주장 못 펴는 '고려 인삼'의 원천 기술 사진 신상구 285 2022.07.10
1922 사또를 고소하는 자는 곤장 100대에 처한다 사진 신상구 326 2022.07.09
1921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 필즈상 수상,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사진 신상구 470 2022.07.09
1920 국학박사 신상구,『충남연구』통권9호에 학술논문「아산지역 상여연구」게재 사진 신상구 346 2022.07.09
1919 천부경은 우리 얼을 담은 최고의 경전 신상구 628 2022.07.02
1918 한국효문화진흥원, 사단법인 한국시조협회와 하계효문화포럼 개최 사진 신상구 394 2022.07.01
1917 한반도 비파형동검 분포 사진 신상구 519 2022.07.01
1916 백제의 ‘익산 천도론’ 비밀의 열쇠 수부 사진 신상구 328 2022.06.30
1915 세종의 정치 배신한 세종의 인재들 사진 신상구 428 2022.06.29
1914 소정 정훈 선생 유품 개인 소장자 대전문학관에 기증해야 사진 신상구 396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