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보문산 사정공원에 충청 선비 시인 임강빈 시비 건립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7.19 19:00


                                                             보문산 사정공원에  충청 선비 시인 임강빈 시비 건립
        

     
                                                                          “언어의 예술성, 서정성 영원하길”

우봉(又峰) 임강빈(任剛彬) 시인의 시비. 김지현 기자
나태주 한국시인협회장이 16일 임강빈 시인의 시비 제막을 축하하고 있다. 김지현 기자
최원규 충남대 명예교수가 16일 임강빈 시인 시비 제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지현 기자

   충남 공주 출신 고(故) 우봉(又峰) 임강빈(任剛彬) 시인(1931~2016)의 문학혼을 담은 시비(詩碑)가 건립됐다. 모처럼 하늘이 맑게 개인 16일 오후 3시 대전 중구 보문산 사정근린공원에는 박용래·한성기 시인과 함께 충청지역 삼가시인(三家詩人)으로 불리었던 임 시인의 4주기를 추모하고, 그의 시비 건립을 기념하기 위해 대전지역 문인들이 모였다.

   이날 제막식에는 최원규 충남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나태주 한국문인협회장, 손혁건 대전문인협회장, 최종태 조각가(서울대 명예교수), 조남익·김용재 시인 등 60여 명이 참석해 시인의 문학혼을 기렸다.

   축사를 통해 조남익 시인은 “임강빈 선생의 시는 언어의 예술성이 담겨있다. 임 선생은 예술성과 언어적 감각이 살아있는 문학을 만들었다”며 “이번 시비 건립을 통해 그의 영광이 무궁하길 간절히 바란다. 사정근린공원이 대전의 시비 공원으로 발전해 모두의 정서적 고향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임 선생의 시비는 지난 2017년 임강빈시조형물건립추진위원회와 유족에 제안으로 추진됐으며 건립까지 무려 3년이 소요됐다. 충청지역의 ‘선비시인’으로 불렸던 임 시인의 시비에는 그의 시 ‘마을’과 세계적인 조각가 최종태 서울대 명예교수의 ‘기도하는 사람’이 부조로 새겨졌으며 기도하는 사람은 임 시인의 소박함과 고요한 이미지를 조각 작품으로 상징화했다. 시비는 화강석과 오석으로 만들어졌으며 크기는 가로 220㎝, 세로 220㎝, 높이 30㎝다.

   최종태 조각가는 “돌의 재질을 극대화하고 생명감을 높이기 위해 두께를 두껍게 했다. 또 조각 작품을 넣은 것은 임강빈 시인에 대한 우정의 표시”라고 설명했다.

   기력이 다하는 순간에도 펜을 놓지 않고 시를 써내려가던 그의 정신은 시비에 고스란히 깃들었다. 이로써 보문산에는 한용운 시인과 박용래·김관식 시인에 이어 네 번째 시비가 조성됐다.

   임 시인은 1931년 공주군 반포면에서 출생해 1956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후 1969년 ‘당신의 손’과 2016년 ‘바람, 만지작거리다’ 등의 주옥같은 시집을 발간했으며 충남문화상, 요사문학상, 상화시인상정훈문학상 등을 다수 수상했다.

   최원규 충남대 명예교수는 “보문산 사정근린공원 내에 지역 시인의 시비가 설립된다는 것은 굉장히 뜻깊은 일이다. 대전시민들도 임 시인의 유구한 시를 읽고 평화와 서정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최종태 조각가의 섬세하고 날카로운 조각으로 임 선생의 시와 어우러진 시비가 완성됐다”고 축하했다.

                                                                                           <참고문헌>

   1. 김지현, " ‘충청 선비시인’의 문학혼 시비에 깃들다", 금강일보, 2020.7.16일자.

         

        

시청자 게시판

2,112개(7/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470 2018.04.12
1991 대전 문화자본 신상구 197 2023.03.13
1990 악비, 천고에 길이 남을 忠의 화신 사진 신상구 412 2023.03.12
1989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대전을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376 2023.03.10
1988 초하(初河) 유성종 박사의 모범적인 삶 사진 신상구 275 2023.03.10
1987 3·1 독립정신 사진 신상구 236 2023.03.10
1986 <특별기고> 3.8민주의거 63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과와 사진 신상구 349 2023.03.09
1985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백서 발간 사진 신상구 217 2023.03.08
1984 <특별기고> 3.1독립만세운동의 발생 배경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267 2023.03.03
1983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신상구 425 2023.03.02
1982 윤석열 대통령 3.1운동 10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247 2023.03.02
1981 천안·아산 3.1운동 공적 미서훈 독립운동가 250여 명 발굴 사진 신상구 354 2023.03.01
1980 해방 78년, 아직도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 군상 신상구 427 2023.02.28
1979 사르후 전투에서 조선·명나라 연합군 10만명이 후금 3만 병력에 大敗 사진 신상구 253 2023.02.28
1978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인 심훈 선생, 시 영화 기사로 일제에 저항 사진 신상구 274 2023.02.27
1977 약탈 논란 문화재 ‘금동관음보살좌상’ 소유권 다툼 신상구 277 2023.02.26
1976 <특별기고> 자작나무의 특징과 한국 무속 신상구 319 2023.02.19
1975 92세에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상숙 씨 이야기 사진 신상구 238 2023.02.19
1974 조선 내각총라대신 김홍집 살해사건 사진 신상구 452 2023.02.19
1973 <특별기고> 연담 이운규 선생의 후천개벽사상과 남학의거운동 신상구 343 2023.02.19
1972 <특별기고> 2023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신상구 255 202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