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충북 괴산군 감물면 오창리 달천 상류 일원에 '유창구곡(有倉九曲)' 설정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28 16:13

                                                    충북 괴산군 감물면 오창리 달천 상류 일원에 '유창구곡(有倉九曲)' 설정

    중원대는 향토문화연구소(소장 김근수)가 남한강 상류인 괴산군 감물면 오창리 일원 십리길(약4㎞) 구간에 유창마을의 주민합의로 유창구곡(有倉九曲)을 정하고 유창리가 고향인 김근수 소장이 유창구곡가(有倉九曲歌)를 지었다고 24일 밝혔다.
    유창리(有倉里, 유찬이)는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위치하며 자연마을은 상유창, 하유창으로 나뉘고 상유창에는 큰말, 안산, 사래월로 구분돼 있다. 유창구곡은 목도다리에서 유창마을 방향 강변 10리를 올라 가면서 절경 아홉 곳으로   제1곡은 유창동문(有倉洞門)인 소금강(小金剛)을 시작으로 제2곡 구경바위, 제3곡 창터, 제4곡 병풍바위, 제5곡 사래여울, 제6곡 빨래터, 제7곡 저두소, 제8곡 호랑이굴, 제9곡은 유창마을과 경계를 이루는 오간마을 망화정(望華亭)을 끝으로 한다. 특히 제1곡 소금강은 목도다리에서 유창마을로 가는 강가 절경을 말하는데 바위 위에 "小金剛(소금강)"이라 쓰여져 있으며 10m아래 바위에 淸祠嵐波(청사남파:청덕사의 아지랑이)와 佳湖風月(가호풍월:아름다운호수의 바람과 달)의 글씨가 있고 중간에 壬申年元月(임신년원월. 1935년1월)李泰浩(조선조 태조 이성계의 맏아들 진안대군 후손) 암각글씨가 있다.
    제3곡인 창터에는 유창마을은 육로가 발전하기 전 한양(서울)과 물물 교환을 하게 됐을 때 정부의 수세 창고가 있었던 곳이다. 고려 때부터 조선조까지 하동창(下東倉)의 소재지로 8칸 창고에 93석의 쌀을 보관했다는 기록이 있다. 현지에는 당시 유물인 기왓장과 주춧돌이 남아있다.
    제9곡은 망화정(望華亭)으로 오창리(五倉里) 유창과 경계인 오간(五間)마을 오른편 산기슭의 봉우리 위에 남동향에 위치하고 있다. 정자의 전면으로 괴강이 돌아 흐르고 주위로는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경관이 수려하다. 망화정(望華亭)이름은 "괴강 상류 화양동(華陽洞)에 있는 만동묘(萬東廟)와 화양서원(華陽書院)을 바라본다"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유창구곡 서가(序歌)는 '고칭(古稱) 세이창(世伊倉)으로 유창(柳倉)에서 유창(有倉)으로 번창했네/ 남한강 상류에 위치해 산천이 아름답고 문물교류의 중심이 됐으며/ 소금배가 오가며 한양 소식 전해 듣고 시골인심 담뿍 담아 소통했네/ 하동창(下東倉) 곡간의 나눔 천성은 유창 강가 백사장의 전통 씨름 풍경이어라'라고 지었다.
    김근수 소장은 "유구한 역사가 있고 문화산수가 잘 어우러진 달천 상류에 유창마을 주민일동이 늦게나마 유창구곡(有倉九曲)을 정하고 유창구곡가(有倉九曲歌)를 지어 선포함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기쁜 마음으로 유창구곡가를 지었다"고 말하며 "유창구곡은 기존의 개인이 아닌 마을주민 합의로 정하고 기존의 작은 협곡보다 넓은 남한강 달천상류에 구곡을 정한 것이 특이하다"고 말했다.
    충북 괴산에는 화양구곡(華陽九曲)을 비롯해 선유구곡(仙遊九曲), 고산구곡(孤山九曲), 갈은구곡(葛隱九曲), 연하구곡(煙霞九曲), 쌍계구곡(雙溪九曲), 풍계구곡(豊溪九曲)이 있으며 근간 2009년 군자구곡(君子九曲) 2010년 풍천구곡(豐川九曲)을 정한 바 있다.
                                                                                         <참고문헌>
    1. 나동욱, "중원대 김근수 향토문화연구소장, 유창구곡가(有倉九曲歌) 선포", 교육전문신문,  베리타스, 2020.4.24일자.     
        


시청자 게시판

2,095개(6/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63 2018.04.12
1994 무원칙과 편의의 원칙 사이에 광화문 월대의 비밀은 영원히 비밀로 남고. 사진 신상구 623 2023.03.16
1993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사진 신상구 252 2023.03.14
1992 ‘조선인요시찰인약명부’에 남은 충남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203 2023.03.13
1991 대전 문화자본 신상구 183 2023.03.13
1990 악비, 천고에 길이 남을 忠의 화신 사진 신상구 383 2023.03.12
1989 도심융합특구 조성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대전을 기대하며 사진 신상구 343 2023.03.10
1988 초하(初河) 유성종 박사의 모범적인 삶 사진 신상구 254 2023.03.10
1987 3·1 독립정신 사진 신상구 226 2023.03.10
1986 <특별기고> 3.8민주의거 63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과와 사진 신상구 331 2023.03.09
1985 대전 골령골 집단학살 백서 발간 사진 신상구 204 2023.03.08
1984 <특별기고> 3.1독립만세운동의 발생 배경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247 2023.03.03
1983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신상구 388 2023.03.02
1982 윤석열 대통령 3.1운동 104주년 기념사 전문 신상구 234 2023.03.02
1981 천안·아산 3.1운동 공적 미서훈 독립운동가 250여 명 발굴 사진 신상구 324 2023.03.01
1980 해방 78년, 아직도 청산되지 못한 친일파 군상 신상구 393 2023.02.28
1979 사르후 전투에서 조선·명나라 연합군 10만명이 후금 3만 병력에 大敗 사진 신상구 223 2023.02.28
1978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인 심훈 선생, 시 영화 기사로 일제에 저항 사진 신상구 259 2023.02.27
1977 약탈 논란 문화재 ‘금동관음보살좌상’ 소유권 다툼 신상구 265 2023.02.26
1976 <특별기고> 자작나무의 특징과 한국 무속 신상구 302 2023.02.19
1975 92세에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상숙 씨 이야기 사진 신상구 226 2023.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