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노벨상' 학자 양성 사업에 사회활동 주력한 정년퇴임 교수 선정 논란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29 18:36

                                 '노벨상' 학자 양성 사업에 사회활동 주력한 정년퇴임 교수 선정 논란

     정부가 ‘한국을 대표할 연구역량을 지닌 우수학자’를 지원·양성하는 사업에 정년퇴임한 고령의 명예교수를 선정해 학계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이 사업은 학자 개인에게 5년간 매년 5,000만원씩 총 2억5,000만원을 지원하는 인문학계 최대 국책사업으로 해당 명예교수는 박근혜 정부시절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상임대표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24일 ‘2020년 우수학자지원사업 예비선정 결과를 발표해 이의신청 접수 중이며 이를 반영해 8월 말까지 최종 확정한다’고 안내했다. 27일 재단 홈페이지에 따르면 인문·사회·융복합분야에 학자 8명이 선정됐다. 한데 이들 중 한상권(66) 덕성여대 명예교수는 지난해 정년퇴임한 노학자로, 애초 지원사업 취지에 맞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005년 시작된 우수학자 지원사업은 2017년까지 기초학문 분야의 한국을 대표할 학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학자 개인에게 5년간 총 1억5,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해왔다. 2018~2019년 중단됐던 사업은 올해 부활하면서 지원 금액이 총 2억5,000만원으로 대폭 오르기까지 했다. 교육부는 앞서 신청 결과를 발표하며 “(선정한) 우수학자는 노벨상 수상자가 될 역량을 갖추기 위해 국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게 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노벨상’을 양성하겠다는 사업에 정년 은퇴한 학자를 뽑은 셈인데, ‘과제 종료 2년’ 안에 연구결과물을 내면 되는 규정 상 한 명예교수는 73세에 책을 출간하면 된다.


     이보다 더 심각하게 지적되는 사안은 한 명예교수의 연구실적이다. 그는 학술단체협의회, 민가협양심수후원회, 역사정의실천연대 등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박근혜 정부시절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의 상임대표를 맡아 국정교과서 도입을 무산시키는 데 앞장섰다. 연구보다 사회단체 활동으로 알려진 ‘운동형 지식인’이다.


    재단 홈페이지에 공개된 한 명예교수의 최근 10년간 발표 논문은 총 13편, 이중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KCI)는 12편이다. 서울 한 사립대 관계자는 “조교수 호봉승급 기준은 1년에 KCI급 학술지 논문 발표 2건인데, 실제로 2건 내면 교수 승진에서 탈락한다”며 “1년에 논문 1편씩 10년을 발표했으면 낙제 수준”이라고 말했다. 다른 사립대 관계자는 “재임용 탈락기준이 2년에 논문 3편”이라며 “최근에는 연평균 KCI등재 논문 3편을 발표해도 교수 승진 심사에서 탈락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요컨대 재임용 탈락기준을 턱걸이로 넘은 실적으로 ‘세계 수준의 연구역량’을 지닌 학자 8인에 선정된 셈이다. 복수의 학계 연구자들은 “논문의 질적 수준이 얼마나 탁월한지 모르겠지만, 현재 학계 현실에 비춰 납득하기 힘든 결과”, “(심사과정을) 합리적으로 의심할만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절차에 따른 결과라는 입장이다. “자격 요건에 나이제한이 없다”는 재단 관계자는 “박사학위 15년 이상 정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기존 우수학자 선정자, 각 학문분야 학회장 등으로 평가위원을 구성해 위원회 별로 독자적으로 심사한다”며 “신청자들의 이해관계자를 심사위원에서 제외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인맥을 걸러낼 제도를 운영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참고문헌>

    1. 이윤주, "노벨상 받을 한국 대표 학자 양성한다면서 사회할동 주력 정년퇴임 교수 선정 논란", 한국일보, 2020.8.29일자. 10면.  
            


시청자 게시판

2,095개(2/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60 2018.04.12
2074 영화 '파묘'보다 더 기겁할만한 일제의 만행들 사진 신상구 27 2024.03.04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19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20 2024.03.03
2071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정말 필요 없어졌나 사진 신상구 29 2024.03.02
2070 3·1운동은 통일로 완결 사진 신상구 23 2024.03.02
2069 한국의 파브로 석주명 박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28 2024.02.29
2068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사진 신상구 31 2024.02.29
2067 &lt;특별기고&gt; 3.1운동의 원인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36 2024.02.28
2066 시부는 중국, 남편은 북한... 죽어서도 가족 못 보는 비운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42 2024.02.27
2065 ‘토종 박사’ 차미영 교수, 한국인 첫 獨 막스플랑크 연구소 단장 선임 신상구 46 2024.02.26
2064 풍수를 한국 전통지리학으로 정초한 최창조 선생을 기리며 사진 신상구 61 2024.02.26
2063 <특별기고> 2024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경 사진 신상구 68 2024.02.24
2062 대전 근대건축물 한암당 ‘흔적 없이 사라질 판’ 사진 신상구 50 2024.02.23
2061 한국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 사진 신상구 50 2024.02.22
2060 <특별기고> 만장의 의미와 유래 사진 신상구 54 2024.02.20
2059 北 언어학 설계한 천재 언어학자 김수경 이야기 신상구 81 2024.02.16
2058 보문산서 발견 1천년 불상 어디에 사진 신상구 57 2024.02.16
2057 간디가 말한 망국의 7가지 징조. 우리 사회 혼란 병폐 모순과 일치 걱정 신상구 52 2024.02.13
2056 [한국의 과학 명가] 한국 첫 화학박사 고 이태규씨 일가 사진 신상구 82 2024.02.10
2055 1969년 한국인 첫 노벨상 후보 이태규 화학박사 신상구 56 2024.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