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보문산 사정공원에 충청 선비 시인 임강빈 시비 건립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7.19 19:00


                                                             보문산 사정공원에  충청 선비 시인 임강빈 시비 건립
        

     
                                                                          “언어의 예술성, 서정성 영원하길”

우봉(又峰) 임강빈(任剛彬) 시인의 시비. 김지현 기자
나태주 한국시인협회장이 16일 임강빈 시인의 시비 제막을 축하하고 있다. 김지현 기자
최원규 충남대 명예교수가 16일 임강빈 시인 시비 제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지현 기자

   충남 공주 출신 고(故) 우봉(又峰) 임강빈(任剛彬) 시인(1931~2016)의 문학혼을 담은 시비(詩碑)가 건립됐다. 모처럼 하늘이 맑게 개인 16일 오후 3시 대전 중구 보문산 사정근린공원에는 박용래·한성기 시인과 함께 충청지역 삼가시인(三家詩人)으로 불리었던 임 시인의 4주기를 추모하고, 그의 시비 건립을 기념하기 위해 대전지역 문인들이 모였다.

   이날 제막식에는 최원규 충남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나태주 한국문인협회장, 손혁건 대전문인협회장, 최종태 조각가(서울대 명예교수), 조남익·김용재 시인 등 60여 명이 참석해 시인의 문학혼을 기렸다.

   축사를 통해 조남익 시인은 “임강빈 선생의 시는 언어의 예술성이 담겨있다. 임 선생은 예술성과 언어적 감각이 살아있는 문학을 만들었다”며 “이번 시비 건립을 통해 그의 영광이 무궁하길 간절히 바란다. 사정근린공원이 대전의 시비 공원으로 발전해 모두의 정서적 고향으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임 선생의 시비는 지난 2017년 임강빈시조형물건립추진위원회와 유족에 제안으로 추진됐으며 건립까지 무려 3년이 소요됐다. 충청지역의 ‘선비시인’으로 불렸던 임 시인의 시비에는 그의 시 ‘마을’과 세계적인 조각가 최종태 서울대 명예교수의 ‘기도하는 사람’이 부조로 새겨졌으며 기도하는 사람은 임 시인의 소박함과 고요한 이미지를 조각 작품으로 상징화했다. 시비는 화강석과 오석으로 만들어졌으며 크기는 가로 220㎝, 세로 220㎝, 높이 30㎝다.

   최종태 조각가는 “돌의 재질을 극대화하고 생명감을 높이기 위해 두께를 두껍게 했다. 또 조각 작품을 넣은 것은 임강빈 시인에 대한 우정의 표시”라고 설명했다.

   기력이 다하는 순간에도 펜을 놓지 않고 시를 써내려가던 그의 정신은 시비에 고스란히 깃들었다. 이로써 보문산에는 한용운 시인과 박용래·김관식 시인에 이어 네 번째 시비가 조성됐다.

   임 시인은 1931년 공주군 반포면에서 출생해 1956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후 1969년 ‘당신의 손’과 2016년 ‘바람, 만지작거리다’ 등의 주옥같은 시집을 발간했으며 충남문화상, 요사문학상, 상화시인상정훈문학상 등을 다수 수상했다.

   최원규 충남대 명예교수는 “보문산 사정근린공원 내에 지역 시인의 시비가 설립된다는 것은 굉장히 뜻깊은 일이다. 대전시민들도 임 시인의 유구한 시를 읽고 평화와 서정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최종태 조각가의 섬세하고 날카로운 조각으로 임 선생의 시와 어우러진 시비가 완성됐다”고 축하했다.

                                                                                           <참고문헌>

   1. 김지현, " ‘충청 선비시인’의 문학혼 시비에 깃들다", 금강일보, 2020.7.16일자.

         

        

시청자 게시판

2,095개(1/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60 2018.04.12
2094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사진 신상구 11 2024.03.28
2093 물리학을 전공한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사진 신상구 27 2024.03.22
2092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9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사진 신상구 24 2024.03.22
2091 광복회장 이종찬, 독립운동가 집안 잊은 적 없다 사진 신상구 29 2024.03.19
2090 북한의 역사학 및 고고학 등 인문학 연구 현황과 변화 심층 조명 신상구 31 2024.03.19
2089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사진 신상구 19 2024.03.18
2088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25 2024.03.17
2087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신상구 19 2024.03.17
2086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신상구 21 2024.03.15
2085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25 2024.03.14
2084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신상구 19 2024.03.14
2083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신상구 31 2024.03.14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19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24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27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29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27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21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28 2024.03.04
2075 한국이 그려야 할 선진국의 모습 사진 신상구 27 2024.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