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역사 대중화 이끈 재야사학 이이화 선생 별세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5.07 20:19

                                                                       역사 대중화 이끈 재야사학 이이화 선생 별세

   꾸준하고 왕성한 연구와 집필 활동으로 역사 대중화를 이끈 원로 역사학자 이이화(李離和) 선생이 18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84세.
   고인은 비록 대학에서 사학을 공부하지 않았지만, 철저한 고증 작업을 바탕으로 일반인 눈높이에 맞춰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 형식으로 역사를 서술해 역사학의 높은 장벽을 허문 재야사학계의 별이었다. 재야사학은 이른바 대학 중심 강단사학과 대비되는 용어이지만, 고인이 일군 학문적 업적은 전업 학문 종사자들에게 뒤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1936년 대구에서 주역 대가인 야산 이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친은 주역 팔괘(八卦)에 따라 아들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이'(離)는 팔괘 중 하나이고, 화(和)는 돌림자이다.
   어린 시절 부친을 따라 전북 익산으로 이주했고, 부친이 학교를 보내지 않아 대둔산에서 한문 공부를 하며 사서(四書)를 배웠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가출해 각지를 돌며 고학을 하다 광주고를 졸업하고 상경해 훗날 중앙대에 편입된 서라벌예대 문예창작과를 다녔다.
   대학을 중퇴한 그는 생계를 잇기 위해 외판원, 술집 웨이터, '불교시보' 기자, 학원 강사 등 다양한 일을 하면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다.
   이후 일간지 임시직을 거쳐 한국고전번역원 전신인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고전을 번역했고, 서울대 규장각에서 고전 해제를 썼다. 이 무렵 '허균과 개혁사상', '척사위정론의 비판적 검토' 같은 역사 관련 글을 신문과 잡지에 기고했다. 이를 통해 얻은 명성으로 본격적인 한국사 저술가의 길에 들어섰다.
   고인은 계간지 '역사비평'을 펴내는 역사문제연구소 창립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역사문제연구소는 역사 공동 연구와 성과 보급을 위해 1986년 2월 설립됐다. 당시 소장이 정석종 영남대 교수, 부소장이 문학평론가 임헌영 씨, 이사장이 서울시장인 박원순 변호사였다. 고인은 서중석 성균관대 명예교수 등과 함께 운영위원으로 참여했다. 그는 제2대 연구소장을 지냈고, 고문으로도 활동했다.
   역사를 케케묵은 옛이야기가 아닌 현실과 맞물린 오늘날 이야기로 인식한 고인은 다양한 책으로 한국사를 대중에게 알렸다. 대표작이 개인이 쓴 한국 통사로는 가장 분량이 많다고 하는 22권짜리 '한국사 이야기'다. 10여년에 걸쳐 완성한 뒤 오류를 수정해 2015년 개정판도 냈다.
   이외에도 '인물로 읽는 한국사', '만화 한국사', '주제로 보는 한국사', '허균의 생각', '전봉준 혁명의 기록' 등을 발간했다.
   그는 특정 시대사에 집중하는 일반적 학자와는 달리 고대사부터 현대사까지 자유롭게 오가며 연구했다. 또 정치와 경제에 집중하는 문헌사와 민속에 관심을 기울이는 생활사 간 경계도 뛰어넘고자 했다. 고구려역사문화보전회 이사장,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이라는 직함이 이를 입증한다. 동학을 향한 관심은 알려지지 않은 인물과 사건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신념의 결과이기도 했다.
   아울러 일본과 중국의 역사 왜곡에 대해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우리 민족의 우월성을 내세우는 민족주의 사관은 배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터뷰나 간담회 자리에서 이순신과 김구가 과대평가된 면이 있다거나 열녀는 유교적 인권 유린이라고 비판한 것은 이러한 소신이 담긴 발언이었다.
   고인의 고등학교 후배인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은 "이이화 선생은 고졸 출신으로 역사학에서 소신껏 연구하며 일가를 이룬 인물"이라며 "민중사관을 바탕으로 탄압받은 사람들을 발굴해 치켜세우고, 역사의 아웃사이더들에게 관심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단재상과 임창순 학술상을 받았고, 2014년 원광대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2018년 종로구 종로1가 사거리에 전봉준 동상이 건립되는 데 기여했고, 그해 8월 용산구 민족문제연구소에서 개관한 식민지역사박물관 건립위원장도 맡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영희 씨와 아들 이응일 씨, 딸 응소 씨가 있다.
   문화계 인사들은 고인 추모 행사를 열 예정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잠정 연기했다.
                                                                                             <참고문헌>
   1. 박상현, "대중화 이끈 '재야사학의 별' 이이화 별세(종합2보)", 연합뉴스, 2020.3.18일자.

시청자 게시판

2,095개(9/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63 2018.04.12
1934 신 기술패권, 자원안보 시대에 총력 대응해야 사진 신상구 197 2022.07.20
1933 블랙홀 100년 만에, 이론에서 실재가 되다 사진 신상구 238 2022.07.18
1932 인촌 김성수선생 통합 리더십, 대한민국 건국 계기 만들어 사진 신상구 458 2022.07.18
1931 김진표 국회의장, '제74주년 제헌절' 경축사 전문 신상구 281 2022.07.18
1930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꼽은 늙지 않는 세가지 방법 신상구 349 2022.07.16
1929 세계화 시대 저물면 대한민국은 몹시 큰 피해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사진 신상구 232 2022.07.16
1928 신선이 노는 복되고 신성한 땅, 경주 낭산 사진 신상구 283 2022.07.15
1927 대전은 스토리의 보고 신상구 255 2022.07.14
1926 가짜 뉴스를 만들어서라도 가지고 싶었던 권력 사진 신상구 279 2022.07.13
1925 대전의 역사 이야기와 도시 정체성 사진 신상구 229 2022.07.13
1924 윤동주·장인환 등 독립유공자 156명 호적 생긴다 신상구 260 2022.07.12
1923 中도 원조 주장 못 펴는 '고려 인삼'의 원천 기술 사진 신상구 267 2022.07.10
1922 사또를 고소하는 자는 곤장 100대에 처한다 사진 신상구 297 2022.07.09
1921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 필즈상 수상,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사진 신상구 431 2022.07.09
1920 국학박사 신상구,『충남연구』통권9호에 학술논문「아산지역 상여연구」게재 사진 신상구 331 2022.07.09
1919 천부경은 우리 얼을 담은 최고의 경전 신상구 574 2022.07.02
1918 한국효문화진흥원, 사단법인 한국시조협회와 하계효문화포럼 개최 사진 신상구 370 2022.07.01
1917 한반도 비파형동검 분포 사진 신상구 463 2022.07.01
1916 백제의 ‘익산 천도론’ 비밀의 열쇠 수부 사진 신상구 307 2022.06.30
1915 세종의 정치 배신한 세종의 인재들 사진 신상구 385 2022.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