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민족사학자 박성수 박사의 타계를 애도하며 글쓴이 localhi 날짜 2016.03.03 02:59

                                                         민족사학자 박성수 박사의 타계를 애도하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칼럼니스트) 辛相龜

   민족사학은 식민사학과 대립하면서 행촌 이암-일십당 이맥-해학 이기-운초 계연수-단재 신채호-한암당 이유립-위당 정인보-최태영으로 이어져 왔다.
   최근 대한민국 민족사학을 이끌어온 원로 사학자 박성수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가 2016년 2월 27일 향년 8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고인은 전북 무주출생으로 서울대 사밤대학 역사교육과, 고려대 대학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문과대 부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실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총장 등을 지냈다. 정년 이후에도 환국-배달국-단군조선으로 이어지는 한국의 상고사를 규명하고 세계에 널리 알리는 세계환단학회 회장과 (사)대한사랑 이사장과 삼균학회 회장을 맡아 활발히 활동해 왔다.
 
    박성수 교수는 서양사학으로 출발했지만 연구의 방향을 돌려 한국의 시원역사와 독립운동사 등 민족의 뿌리를 밝히고 민족정신을 정립(正立)하는 데 혼신을 다해 민족사학계의 거목으로 자리매겨져 왔다.
   세계환단학회가 그의 노력에 힘입어 2014년에 창설되었고, 인류시원의 역사가 담긴 환국의 땅(바이칼 호수)이 있는 러시아의 심장부 모스크바에서 뜻깊은 국제학술대회가 성사될 수 있었다. 2016년 2월 20일 모스크바 코로스톤 호텔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는 '한반도와 유라시아 문명의 대화'를 주제로 러시아의 내로라하는 한국학 학자들과 한국의 역사학자들이 사상 처음 함께 해 한민족 상고사와 유라시아 문명의 상관관계를 짚어보는 귀중한 시간이 되었다. 특히 환국과 배달, 단군조선으로 이어지는 9천년 역사의 한국상고사가 일제의 조작으로 신화로 치부되는 현실에서 20세기이후 중국 내몽골과 요서 지역 일대에서 발굴된 홍산문화를 한러학자들이 조명하고 "고조선이 조선 사람들에 의해 스스로 건국되었다", "발해는 육해상로를 갖춘 대국이었다"는 연구논문을 러시아 학자들이 발표한 것은 고무적인 성과였다.
   박성수 회장은 개회사에서 "역사 속에는 민족혼이 담겨 있어야 한다. 혼이 죽은 역사, 고금이 절단된 역사는 민족사가 아니다. 사대주의와 일제식민사관으로 끊긴 민족사의 맥을 다시 잇고 민족사학을 재야에서 강단으로 끌어올려 우리의 위대한 상고사를 재건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같이 그는 생의 마지막까지 한민족의 상고사에 관한 열정을 보여 주어 참석자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한국과 러시아의 특별한 인연과 모스크바 학술대회의 감회를 피력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일제의 명성황후 시해후 고종황제가 충정공 민영환을 니콜라이 황제 대관식에 보내 도와줄 것을 간청하자 러시아는 육군과 해군함을 보냈다. 절대 질 수 없는 막강한 발트 함대를 보냈지만 영국의 방해로 너무 먼 길을 돌아오고 기계 고장까지 일으키는 불운으로 일본에 패하면서 한국과의 인연이 멀어졌다"고 회고했다.
   모스코바 국제학술대회를 주관한 모스크바프레스의 김원일 박사(모스크바 국립대학)는 "한국 상고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환국의 땅을 품고 있는 러시아에서 역사적인 국제 학술대회가 열린 것을 너무나 기뻐하시던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 앞으로도 더욱 의미있는 학술교류를 통해 고인의 유지를 받들면 좋겠다"고 애도의 뜻을 표했다.
   박성수 교수는 국학원 ? 국학연구원 ? 세계환단학회 ? 한배달이 주최하는 학술세미나에서 논문을 여러 차례 발표하고, 상생방송에서 역사특강을 여러 차례 하여 민족사학도들에게는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강단사학자들에게는 사이비 학자로 무시되거나 폄하되기도 했다.
   박성수 교수는 강단사학자이면서도 추위와 굶주림 속에서도 민족사 연구에 헌신하며 1983년에『환단고기』배달의숙본을 발간하여 세상에 알린 한암당(寒闇當) 이유립(李裕笠, 1907~1986) 선생을 ‘국사의 아버지’라고 추앙할 정도로『환단고기(桓檀古記)』를 높이 평가했다. 그리고 우리 역사 바로 세우기에 앞장서고 있는 증산도 행사에 여러 차례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필자는 재야민족사학자로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과 박사과정에 재학하고 있을 때에 국학연구원이 개최하는 학술세미나에 여러 차례 참석해 박성수 교수가 학술논문을 발표하는 모습을 가까이서 자주 뵐 수가 있었고, 상생방송에서 박성수 교수가 역사특강 하는 것을 여러 차례 들은 적이 있는가 하면, 레포트와 학술논문를 작성할 때에 박성수 교수의 저서들을 많이 참고하여, 박성수 교수의 타계 소식은 남다른 감회와 슬픔에 적게 하고 있다. 게다가 식민사학에 비해 민족사학이 열세에 있어 민족사학자를 단 한 명이라도 더 확보할 필요성이 있는 이때에 타계하여 민족사학자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박 교수의 주요 저서로는『독립운동사 연구』,『역사학개론』,『한국근대민족운동사』,『한국 근대사의 재인식』, 『일본 역사 교과서와 한국사 왜곡』, 『정인보의 조선사 연구』, 『독립운동의 아버지 나철』,『한국인의 역사정신』,『단군문화기행』,『한국독립운동사론』,『민족사의 맥을 찾아서』등이 있다.

    고령의 나이에도 지난 2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세계환단학회를 성공리에 개최한 뒤 지병이 악화돼 모스크바 병원에 입원했고 끝내 유명을 달리 하고 말았다. 우리 상고사와 특별한 인연을 갖는 러시아 연방의 수도에서 민족사학계의 큰별이 진 것이다.
   유족으로는 부인 허은경씨, 아들 장우(사업)·장균(사업)씨, 딸 지현(진주시청 근무)·지희씨, 사위 박윤배(경상대 교수)·박기태(SCA 사장)씨가 있다.
   장례는 민족사회장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빈소는 서울 강남성모병원 장례식장 11호실(☎ 02-2258-5940)에 마련됐다. 발인은 오는 4일 오전 5시다. 장지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천주교 길음동교회 묘역이다.
   박성수 교수가 이승에서의 모든 무거운 짐을 모두 내려놓으시고 천국에서 편안하게 영면  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참고문헌>
   1. 신상구, “단재 신채호를 ‘또라이’ 취급하는 식민사학자의 만행”, 디트뉴스, 2015.1.21일자.
   2. 김기훈, “민족사학자 박성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별세”, 연합뉴스, 2016.3.2일자.
   3. 정성수, “민족사학계 큰 어른 박성수 교수 별세…마지막까지 투혼”, 세계일보, 2016.3.2일자.
   4. 이선민, "박성수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별세", 조선일보, 2016.3.3일자.
   5. 노창현, “원로민족사학자 박성수교수 러시아에서 마지막 연설 감동”, 뉴시스, 2016.3.4일자. 
                                                                 <필자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 “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 “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아우내 단오축제』,『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1997) 등 4권.  
.주요 논문 : “천안시 토지이용계획 고찰”, “천안 연극의 역사적 고찰”, “천안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항일독립투사 조인원과 이백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 “한국 여성교육의 기수 임숙재 여사의 생애와 업적”, “민속학자 남강 김태곤 선생의 생애와 업적”, “태안지역 무속문화의 현장조사 연구”, “태안승언리상여 소고”, “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 “천안지역 상여제조업체의 현황과 과제”,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 등 65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시청자 게시판

2,112개(8/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479 2018.04.12
1971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사진 신상구 471 2023.02.19
1970 <특별기고> 운초 계연수 선생의 생애와 업적<실존인믈&g 신상구 688 2022.09.15
1969 한국전통문화대 崔英成 교수, 목은 이색 문집서 ‘天符經’ 언급 발견 사진 신상구 815 2022.09.15
1968 세종시 원로서예가 송암 민복기(松巖 閔復基) 선생 사진 신상구 1003 2022.09.06
1967 가난했던 이중섭은 병문안 선물 살 돈 없어 그림 건넸죠 사진 신상구 765 2022.09.01
1966 공덕동 빌딩 숲에 숨어 있는 권력의 쓸쓸함 사진 신상구 661 2022.09.01
1965 백제 ‘은꽃 장식’에 담긴 성왕의 강국건설 의지 사진 신상구 398 2022.08.31
1964 中, 70년 유지 조선족 한글 간판 단속 사진 신상구 364 2022.08.30
1963 지진아 아인슈타인 깨운 3가지...나침판, 바이올린, 토론 사진 신상구 460 2022.08.24
1962 그림자 없는 평등 세상, 장욱진의 이상향 사진 신상구 274 2022.08.24
1961 거문도 사건 전말 사진 신상구 524 2022.08.19
1960 중부권메가시티와 충청문화르네상스 사진 신상구 315 2022.08.18
1959 무속(巫俗)의 허와 실 신상구 556 2022.08.17
1958 위대한 문학은 제도·권력·유행의 경계 밖에서 ‘눈물 닦아주는 손’ 신상구 318 2022.08.17
1957 고려인 최초 정착지에 세운 ‘추모의 벽’, 15人 독립영웅 우뚝 사진 신상구 496 2022.08.17
1956 <특별기고> 8.15광복 77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주요 과제 사진 신상구 344 2022.08.17
1955 윤석열 대통령 광복절 77주년 경축사 전문 신상구 235 2022.08.16
1954 군자금 모금한 의병장 찾았다 사진 신상구 283 2022.08.13
1953 조국 독립 김국의 혼 담긴 태극기, 보물된다. 사진 신상구 278 2022.08.13
1952 고조선의 대표적인 유물 비파형동검, 중국은 왜 부정하나 사진 신상구 949 202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