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종교철학자인 황필호 박사와 사회학자인 최재석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글쓴이 localhi 날짜 2016.10.11 20:08
     종교철학자인 황필호 박사와 사회학자인 최재석 박사 타계를 애도하며

                                 1. 종교철학자인 황필호 박사 타계
    ‘철학의 생활화’ 이끈 종교철학 권위자인 황필호(사진) 전 동국대 교수가 8일 오전 10시 별세했다. 향년 79. 1937년 충북 괴산 증평 출신으로 청주고와 서울대 문리대 종교학과를 나온 고인은 미국 오클라호마대에서 종교철학 박사, 세인트존스대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평생교육원 동서비교철학 강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및 기독교학과 강사. 덕성여자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동국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및 교수. 한국철학회 논리논술 대학원 원장. 현, 한국철학회 소속 한국비교철학회 및 한국종교철학회 회장. 사단법인 생활철학연구회 회장. 강남대학교 종교철학과 대우교수 등을 역임했다. 1977년 한미 관련 에세이 콘테스트 (영문) 수상. 1994년 제12회 한국수필문학상 수상. <어느 철학자의 편지> 발행인, 월간 <우리길벗> 편집주간을 맡았다. 유족으로는 부인 강인자씨와 아들 폴(전 바클레이즈증권 애널리스트)·피터(미국 거주)가 있다. 빈소는 연세대세브란스병원, 발인 10일 오전 9시40분이다. (02)2227-7584
                                    2. 사회학자인 최재석 박사 타계
   조선후기사회사 연구에 '균분상속론'을 제시하는 등 큰 발자취를 남긴 최재석(사진) 고려대 명예교수가 9일 오전 9시 별세했다. 향년 90.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고인은 1959년 이래 30여 년간 한국가족제도사와 한국사회사를 연구했다. 66년에는 2년간 하버드대 교환교수를 다녀오기도 했다. 고인은 1970년대에 조선후기 사회학 분야에 큰 족적을 남겼다. 특히 17세기 중반 이전 조선사회에서 아들과 딸이 재산을 똑같이 상속받았다는 그의 '균분상속론'은 움직일 수 없는 통설이 됐다. 1990년대 들어서 그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이 조작됐다는 통설을 거부하면서 한국고대사 학계에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노년기에도 고대 한일관계사에 관한 연구 결과를 정력적으로 발표했다. 2011년 펴낸 회고록 <역경의 행운>에서도 동료 교수는 물론 저명한 외국 교수까지 실명 비판해 이목을 끌었다. 조광 고려대 명예교수는 고인에 대해 "1970년대에 조선 시대 가족문제 등을 연구하시면서 조선왕조 후기 사회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글을 많이 써 사회사에 큰 업적을 남기셨다"고 평가했다. 고인은 1973∼74년 한국사회학회장을 지냈다. 유족은 부인 이춘계 동국대 명예교수가 있다. 빈소는 경기 분당서울대병원, 발인은 11일 오전 9시다. (031)787-1501.

     필자는 고 황필호 박사와 동향이고 청주고 선배인데다가 민족종교를 조사연구하고 있어 특히 황필호 박사의 타계는 남다른 상실감을 안겨주고 있다. 그리고 필자가 충남지역에서 34년 4개월 동안 사회과 교사로 재직하다가 정년퇴임해서 그런지 사회학자인 최재석 교수의 타계 소식도 남다른 슬픔을 안겨주고 있다. 진심으로 두 분의 명복을 빈다. 
                                                <참고문헌>
    1. “황필호 교수 타계”, “최재석 교수 타계”, 세계일보, 2010.10.10.일자. 28면.




시청자 게시판

2,111개(6/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224 2018.04.12
2010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사진 신상구 426 2023.05.09
2009 공주시 이삼평 ‘왜군에 적극적 부역’ 불편한 진실 사진 신상구 337 2023.05.02
2008 통일한반도 꿈꾼 아산… “통일되면 세계 1위 경제 강국 될 것” 사진 신상구 206 2023.05.01
2007 중부매일, 전국 일간지 평가 '충청권 최고 신문 선정 축하 사진 신상구 173 2023.04.28
2006 <특별기고>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수립 제104주년을 기념하며 사진 신상구 207 2023.04.13
2005 충남의 선비정신 신상구 432 2023.04.06
2004 <특별기고> 제주 4.3사건 75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추념식 신상구 382 2023.04.05
2003 문형순, 김익열 제주 4·3사건 의인들은 ‘역사의 은인’ 사진 신상구 288 2023.04.04
2002 1920년 천마산대 소년통신원이었던 한암당 이유립 선생 사진 신상구 185 2023.04.02
2001 대전시의 미래 관광과 나비효과 양동기 사진 신상구 160 2023.03.31
2000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품으로 신상구 334 2023.03.31
1999 독도 명칭의 유래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억지 증거 사진 신상구 261 2023.03.28
1998 <특별기고> 안중근 의사의 생애와 업적과 순국 113주년 기념 사진 신상구 200 2023.03.28
1997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식과 안 사진 신상구 211 2023.03.27
1996 ​거북등딱지부터 챗GPT까지, 점괘의 발달 사진 신상구 212 2023.03.18
1995 짧고 불꽃 같은 생을 살았던 조영래 천재 인권변호사 사진 신상구 367 2023.03.17
1994 무원칙과 편의의 원칙 사이에 광화문 월대의 비밀은 영원히 비밀로 남고. 사진 신상구 661 2023.03.16
1993 ‘戰後 일본의 양심’ 오에 겐자부 타계 사진 신상구 262 2023.03.14
1992 ‘조선인요시찰인약명부’에 남은 충남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212 2023.03.13
1991 대전 문화자본 신상구 192 2023.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