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일제가 그린 '충무공' 녹둔도 실측 지도 발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4.28 02:58
                               일제가 그린 '충무공' 녹둔도 실측 지도 발견

   '녹둔도 전투'(1587년)의 무대를 측량한 근대 지도가 처음 공개됐다.

 

   한반도 지도를 수집해온 박준형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장이 지난 3월 초 일본에서 입수한 ‘녹둔도’(鹿屯島) 실측 근대지도를 충무공 이순신 탄신 제475주년을 앞두고 26일 공개했다고 해사가 밝혔다.

 

   두만강 하구에 위치한 ‘녹둔도’는 이순신이 1586년부터 2년간 조산보만호(造山堡萬戶) 겸 녹둔도 둔전관(屯田官)으로 근무하면서 여진족의 침입을 막아내고 ‘녹둔도 전투’에서 승리를 거뒀던 장소다. 현재는 러시아의 영토다. 지도의 명칭은 ‘일로국경부근지도’(日露國境附近之圖)로, 1911년 9월 일제가 실측해 그린 것이다. 지도는 가로 79.5㎝, 세로 122.5㎝의 크기로 반투명 투사지에 채색되어 있으며 보관상태도 양호하다. 오른쪽 아래에 방위표와 ‘2만분의 1’ 축척이 표기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 범례가 표로 정리되어 있다.

 

            

   이 지도는 일반 지형도와 달리 군사적 목적에 의해 제작된 특수지도다. 조선총독부가 1926년 제작한 ‘5만분의 1’ 축척 지도보다 15년이나 빠르고 축척도 ‘2만분의 1’이어서 녹둔도 주변 지역의 상세한 파악이 가능하다고 해사 측은 평가했다.

 

   박 관장은 “러시아와 접경 지역인 두만강 하구의 녹둔도 지역은 일제의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면서 “당시 한반도에 주둔했던 일제의 한국주차군사령부(韓國駐箚軍司令部)가 지도를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순신은 녹둔도 전투에서 승리한 이후 전라좌수사로 부임했다. 지도에 ‘성장’(城場)이라는 지명이 있는데 녹둔도 토성(土城)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며 “향후 연구를 통해 녹둔도에서 충무공 관련 유적이 발굴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이사인 백종오 교수는 “이 지도는 이순신이 활약했던 녹둔도 전투의 주무대였던 녹둔도 토성의 위치를 고증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평가했다고 해사는 전했다.

                        

                                                                                                              <참고문헌>

   1. 이서현, "충무공 근무했던 두만강 녹둔도 일제시대 만든 실측지도 찾았다", 동아일보, 2020.4.27일자. A28면.  

시청자 게시판

2,114개(3/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5344 2018.04.12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32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54 2024.03.03
2071 현대사회에서 종교는 정말 필요 없어졌나 사진 신상구 40 2024.03.02
2070 3·1운동은 통일로 완결 사진 신상구 34 2024.03.02
2069 한국의 파브로 석주명 박사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44 2024.02.29
2068 ‘조선 독립 호소’ 외교문건 12점 첫 공개 사진 신상구 63 2024.02.29
2067 &lt;특별기고&gt; 3.1운동의 원인과 경과와 영향 사진 신상구 48 2024.02.28
2066 시부는 중국, 남편은 북한... 죽어서도 가족 못 보는 비운의 독립운동가 사진 신상구 81 2024.02.27
2065 ‘토종 박사’ 차미영 교수, 한국인 첫 獨 막스플랑크 연구소 단장 선임 신상구 56 2024.02.26
2064 풍수를 한국 전통지리학으로 정초한 최창조 선생을 기리며 사진 신상구 74 2024.02.26
2063 <특별기고> 2024년 정월대보름 맞이 대동 장승제 봉행을 경 사진 신상구 90 2024.02.24
2062 대전 근대건축물 한암당 ‘흔적 없이 사라질 판’ 사진 신상구 95 2024.02.23
2061 한국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 사진 신상구 60 2024.02.22
2060 <특별기고> 만장의 의미와 유래 사진 신상구 65 2024.02.20
2059 北 언어학 설계한 천재 언어학자 김수경 이야기 신상구 130 2024.02.16
2058 보문산서 발견 1천년 불상 어디에 사진 신상구 73 2024.02.16
2057 간디가 말한 망국의 7가지 징조. 우리 사회 혼란 병폐 모순과 일치 걱정 신상구 97 2024.02.13
2056 [한국의 과학 명가] 한국 첫 화학박사 고 이태규씨 일가 사진 신상구 130 2024.02.10
2055 1969년 한국인 첫 노벨상 후보 이태규 화학박사 신상구 76 2024.02.08
2054 대전 노숙인 54명 르포 사진 신상구 150 2024.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