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독립유공 훈·포장 미전수자 전국 5949명, 충청권에만 359명 달해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8.16 19:21

                                                     독립유공 훈·포장 미전수자 전국 5949명,  충청권에만 359명 달해         

    



청주 삼일공원 항일독립운동기념탑 모습. /충청타임즈DB
청주 삼일공원 항일독립운동기념탑 모습. /충청타임즈DB
 

    일제가 `정미7조약'을 내세워 대한제국 군대를 강제로 해산, 제국주의적 식민 야욕을 본격화한 1907년 7월 이후 전국에서 의병 봉기가 이뤄졌다.
    충청에서도 의병 무장활동이 들불처럼 번졌다. 후세에 널리 알려진 한봉수 의병장이 중심이 됐다. 한 의병장이 혁혁한 공을 세울 수 있었던 원동력은 음지에서 묵묵히 희생한 의병이다.
    그중 한 인물이 고(故) 김명심(1881~미상) 선생이다. 선생은 1908년 한봉수 의진에 들어갔다. 그는 한 의병장 지시에 따라 활동 자금 확보를 위해 청주군(현 청주시) 일대에서 군자금을 징수했다. 의병 활동을 밀고한 부일협력자를 처단하는 역할도 맡았다.
    1909년 7~8월에는 여러 동지와 함께 속리산에서 일본군 수비대와 격렬한 교전을 벌였다.
    항일 무장투쟁 전선에서 뛰다 붙잡힌 선생은 1910년 5월 징역 15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러야 했다. 그가 세상을 떠난 시점은 명확하지 않다.
    1900년대 초 충북 영동 영동면장에 재직하던 고(故) 이승구 선생(1880~1920년)은 일제 치하 속에서 국권 회복을 위해 헌신했다.
    선생은 1913년 12월 재산을 모두 처분한 뒤 중국 봉천성 유하연 삼원포로 망명했다. 독립운동에 뜻을 품었던 그는 망명한 해 결성된 대한독립단에 참여했다.
    대한독립단은 의병장 출신인 박장호·조맹선을 중심으로 뭉친 무장독립 단체다. 선생은 곧 중앙총단 서기장·지단장에 선임돼 핵심 참모로 중추적인 활동을 했다.
    항일투쟁을 이어가던 1920년 7월 23일 봉천성 한 산중에서 일본군 습격을 받고 교전 끝에 전사했다.
    빛 광(光), 회복할 복(). `광복',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빛을 되찾다'는 의미다.
    언뜻 단순해 보이는 단어는 한민족에게 남다른 울림을 준다.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나 주권을 회복한 날을 뜻하기 때문이다.
    한반도는 광복 이전 무려 35년 동안이나 서슬 퍼런 식민 치하에서 숱한 고통을 겪었다. 전 국토는 수탈 대상으로 전락했고 국민은 말살에 가까운 탄압과 모멸에 시달렸다.
    잔혹한 시대에 남은 건 오직 민족성 하나였다.
    나라는 모든 걸 잃었지만 국민만큼은 절개를 굽히지 않았다. 뜨거운 애국심 하나로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독립유공자. 빼앗긴 민족혼을 되찾기 위해 한반도 안팎에서 피와 눈물을 흘린 이들이다.
    광복을 맞은 지 75년이 지난 오늘날 목숨 바쳐 희생한 독립유공자에게 남은 건 훈장과 포장뿐이다.

    하지만 독립 유공 훈·포장은 제자리를 찾아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김명심·이승구 선생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두 인물이 세운 공을 기려 1995년과 1998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으나 전수하지 못했다.
    독립유공자 대부분이 겪는 일이다. 전국적으로 훈·포장 미전수 독립유공자(본적 기준)는 5949명에 달한다. 충청권에만 359명이나 있다. 세부적으로는 충남 218명, 충북 138명, 충청 3명이다.
   훈·포장 전수가 어려운 까닭은 여러 가지다. 우선 제적부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다. 독립유공자 본적과 주소가 확인되지 않을 때 주로 일어나는 일이다.
   제적부가 아예 소실돼 원천적으로 찾기 어려울 때도 부지기수다.
   신분을 감추고 활동한 독립유공자는 훈·포장 전수가 더욱더 어렵다.
   일제 추적을 피하려 본명 대신 이명(異名)을 사용했거나 당시 가족에게까지 독립운동 참여 사실을 알리지 않은 경우다.
   여기에 독립유공자가 직계 후손을 남기지 않고 떠난 점도 걸림돌로 작용한다.
   사례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최근 청주에선 약산 김원봉과 함께 의열단을 조직하고 광복군으로 활동한 고(故) 김병태 선생(1899~1946년)에게 추서된 훈장이 방계 후손에게 전수됐다.
   훈장은 `건국훈장 독립장'으로 무려 25년 만에 주인을 찾을 수 있었다.
   김병태 선생 조카인 김영인씨(71·청주 봉명동)는 “어릴 때 셋째 큰 아버님이 일본으로 건너갔다는 얘기를 들은 적 있지만 독립운동에 참여한 사실은 전혀 알지 못했다”면서 “큰 아버님이 워낙 젊은 나이에 집을 떠나신 데다 직계 후손까지 없어 더 알기 어려웠던 것 같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큰 아버님이 나라 독립을 위해 애쓰셨다는 사실을 이제라도 알았으니 가문의 영광으로 삼고, 조카로서 그 큰 뜻을 기려 나가겠다”고 했다.
   문제는 남은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는 데 있다. 세월이 흘러 대를 거듭할수록 독립유공자를 기리는 정신이 흐릿해질 수밖에 없어서다.
   충북남부보훈지청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광복한 지 올해 75주년으로 벌써 반백 년이라는 시간을 훌쩍 지나왔다”며 “하지만 여태껏 후손을 찾지 못해 훈·포장을 전수하지 못한 독립유공자가 여전히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월이 흘러 독립유공자에 대한 기억이 희미해지기 전에 훈·포장이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국가보훈처를 비롯한 각 보훈지청은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연중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독립유공자는 일본이 국권을 빼앗아 간 1895년을 전후해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국권 회복 활동 등을 한 인물을 칭한다.
   훈장 미전수 독립유공자 명단은 국가보훈처와 공훈전사자사료관에 `기록'으로 남아있다.
                                                                                      <참고문헌>
    1. 조준영, "  `주인 못 찾은' 독립유공 훈·포장 `빛 바랜' 애국의 별", 충청타임즈, 2020.8.14일자. 7면.

   

시청자 게시판

2,112개(2/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475 2018.04.12
2091 광복회장 이종찬, 독립운동가 집안 잊은 적 없다 사진 신상구 68 2024.03.19
2090 북한의 역사학 및 고고학 등 인문학 연구 현황과 변화 심층 조명 신상구 37 2024.03.19
2089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사진 신상구 34 2024.03.18
2088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적 사진 신상구 52 2024.03.17
2087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신상구 53 2024.03.17
2086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신상구 36 2024.03.15
2085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신상구 56 2024.03.14
2084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신상구 27 2024.03.14
2083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신상구 65 2024.03.14
2082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신상구 37 2024.03.13
2081 20년간 공고해진 좌편향 ‘한국사 시장’ 오류 저격하는 젊은 역사 유튜버 사진 신상구 29 2024.03.11
2080 <특별기고> 대전 3.8민주의거 제64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 사진 신상구 43 2024.03.10
2079 영화 '파묘' 처럼... 현충원 친일파, 언제쯤 들어낼 수 있을까 사진 신상구 36 2024.03.09
2078 소운서원 이정우 원장, 동·서양 아우른 첫 ‘세계철학사’ 완간 신상구 44 2024.03.07
2077 누구나 읽을 수 있는 백화문으로 위안스카이 독재 비판 사진 신상구 31 2024.03.07
2076 민족사학의 큰별,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37 2024.03.04
2075 한국이 그려야 할 선진국의 모습 사진 신상구 55 2024.03.04
2074 영화 '파묘'보다 더 기겁할만한 일제의 만행들 사진 신상구 36 2024.03.04
2073 소설가 한강 , 한국 최초 프랑스 4대 문학상인 '메디치상' 수상 신상구 26 2024.03.03
2072 누가 자꾸 역사의 시계를 과거로 되돌리나 사진 신상구 39 2024.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