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대전 원로 시인 우봉 임강빈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고 명복을 빌며 글쓴이 localhi 날짜 2016.07.19 09:20
                                               대전 원로 시인 우봉 임강빈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고 명복을 빌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향토사학자, 시인, 문학평론가, 칼럼니스트) 辛相龜

   대전 문단(文壇)의 원로 문인인 우봉(又峰) 임강빈(任剛彬) 선생이 지난 2016년 7월 16일 오후 2시에 향년 85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그는 충청도 선비, 충청도 문학계의 거장 또는 터줏대감, 원로 글쟁이, 순수서정 시인 등으로 알려져 있다. 중고등학교 학생 시절부터 무려 60여 년간 쉬지 않고 줄곧 순수 서정시를 쓰다 보니 13권의 서정 시집을 상재했다.
   그의 대표 시로는 <동목(冬木)>, <벽(壁)>, <백목련>, <버들> 등이 있다. 황희순은 <동목(冬木)>을, 리헌석은 <백목련>과 <버들>을, 나민애는 <독작(獨酌)>을,『국어국문학자료사전』에는 <벽(壁)>을 대표시로 꼽고 있다. 그런데 필자는 <버들>을 임깅빈 시인의 대표 시로 추천하고 싶다.

                                                           꺽이지 마라
                                                           늘어진 가지야.
                                                           전봉준의 
                                                           혁명처럼 꺽이지 마라.
                                                           춥고 어두운 겨울을
                                                           견딘 버들아.
                                                           봄추위가
                                                           아직은 골목에 남아 있지만
                                                           맨 먼저 눈 뜨거라.
                                                           춤 추거라.
                                                           뿌리박은 나의 땅
                                                           늘어진 가지야
                                                           바람 따라 서러운 버들아
                                                           진정 꺾이지 않는
                                                           힘을 보여라     
                                                            <버들> 전문  

   이 시는 간결하면서도 다의적 해석이 가능하여 시의 특징인 단순성과 애매모호성을 잘 살렸고, 실패한 동학혁명을 소재로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 성장한 시인의 무의식 속에 연면하게 녹아있는 항일정신과 겨레사랑 정신을 잘 표출하고 있어, 재야 민족사학자인 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고 임강빈 시인은 전통적 순수서정을 노래해 온, 일관된 서정 시인으로 주로 짧은 시를 창작했다. 그의 시들엔 ‘나’란 자아가 빠져 있고, 무욕(無慾 : 비우고자 함이나 비운 상태)의 시심과 허정(虛靜 : 예술적 창조와 미적 관조의 바탕이 되는 순수의식)의 경지에 이르는 심재(心齋) 과정을 통해 내면을 작품으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반도시적인 시골의 사물을 대상으로 쓴 시가 많다. 그의 시를 보면 사물이 곧 화자가 되고, 사물이 그림처럼 시각적으로 단순하게 서술되어 있는가 하면, 한폭의 정물화(靜物畵)처럼 그 기법이 섬세하고, 이미지가 극도로 압축되어 있다.  
   그는 해방 직후 공주시장에서 우연히『문장(文章)』이란 문학잡지를 보고 운문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시작을 하기 시작했다. 공주중 6학년 재학 시에 시집『해바라기』단권을 발간했는데, 혼란기에 분실했다. 1959년『중학생』이라는 잡지에 시가 게재된 적이 있다. 1950년 6월 1일 공주사대 국어교육과에 입학해 금당(錦塘) 이재복(李在福, 1918-1991) 교수와 물재(勿齋) 이원구(李元九) 교수 지도로 김구용(金丘庸), 정한모(鄭漢模), 장서언(張瑞彦, 교사), 김상억(金尙億, 교사), 최원규(崔元圭), 임성숙(林星淑) 등과 학내 문학서클인 시회(詩會)를 창립하고 시를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했다.
   임강빈 시인은 정한모(鄭漢摸, 1923-1991), 박목월(朴木月, 1915-1978), 김춘수(金春洙, 1922-2004), 서정주(徐廷柱, 1915-2000) 등을 존경했고 그들이 쓴 시를 좋아했다. 그는 일평생 산문은 쓰지 않고 운문인 시만 썼다. 민중시, 참여시는 쓰지 않고 서정시만을 창작했다.
   문단활동으로는 1977년 한국문인협회 충남지회장을 역임했고, 한국시인협회 회원으로 가입해 활동했다. 그는 문단활동을 하면서 김구용(金丘庸, 1922-2001), 박용래(朴龍來, 1925-1980), 한성기(韓性祺, 1923-1984), 최원규(崔元圭), 나태주(羅泰柱) 등과 자주 어울려 술집을 전전하며 인생과 문학을 논했다.    
   고인은 2016년 5월 10일 발간한 마지막 시집인『바람, 만지작거리다』서문에서 “무려 60년이나 시를 창작했지만, 널리 회자되는 시, 번번한 애송시 하나 없어 허무하다.”고 말했다.  
   그런데 그는 박용래, 한성기 시인과는 달리 중앙문단에 기웃거리지 않고 충남과 대전의 중학교에서 국어교사로 재직하면서 김용재(金容材), 김영훈(金榮薰), 리헌석(李憲錫), 엄기창(嚴基昌), 고 전영관(全榮寬, 1950-2016), 고 홍희표 (洪禧杓, 1946-2014) 등 훌륭한 문인들을 많이 배출해 향토문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 했다.
   우봉 임강빈 시인은 1931년 2월 22일(음력 12월 7일) 충남 공주군 반포면 봉암리의 풍천임씨(豊川任氏) 가문에서 부인 만당(晩堂) 임영순(任瑛淳)과 모 정순모(鄭順謨) 사이에 3남 중 2남으로 태어났다. 공주중학교, 공주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1952년 청양중학교 교사로 교육계에 입문했다. 그 후 충남과 대전에서 44년간 교직 생활을 하다가 1996년 대전 용전중학교장으로 정년퇴임했다. 1956년『현대문학』에 <항아리>, <코스모스>, <새> 등의 시 작품이 추천돼 등단한 후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여 시집『당신의 손』,『동목(冬木)』,『매듭을 풀며』,『등나무 아래에서』,『조금은 쓸쓸하고 싶다』,『버리는 날의 반복』, 『버들강아지』,『버리는 날의 향기』,『쉽게 시가 쓰여진 날은 불안하다』,『한 다리로 서 있는 새』,『집 한 채』,『이삭줍기』,『바람, 만지작거리다』등 13권을 발간했다. 1966년 충청남도 문화상, 1989년 요산문학상, 1994년 공산교육상(예술부문), 1996년 대전시인상, 1998년 상화시인상, 2002년 정훈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우봉 임강빈 시인은 평소에 고독한 시인으로 남고 싶다고 말했다. 그리고 지인들을 만나면 수시로 다음과 같은 경구와 어록을 말씀해 일평생 교훈으로 삼도록 했다.  
   “도이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 下自成蹊 : 복숭아와 오얏은 말을 하지 않지만, 그 나무 밑에는 길이 저절로 생긴다.)
   “사과는 제맛을 모르면서 익어간다. 시인은 모름지기 그래야 한다.”
   “100편의 시를 쓰는 것보다 100명이 감동한 시 1편을 써야 한다.”  
   임강빈 시인은 1954년 10월 25일 25세 때에 공주시 봉황동에 거주하는 23세의 이석희(李石姬, 85세)와 결혼해 슬하에 2남(임창우. 임창준) 1녀(임창숙)를 두었다.  
   고인의 빈소는 건양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고, 영결식은 18일 오전 9시 대전문인협회장으로 치러졌다. 장지는 대전공원묘원(세종시 장군면 금암리)이다. 장례위원장은 문학사랑협의회 이헌석 회장이 맡았고, 장례식에는 60여 명의 가족과 문인과 지인들이 참여해 애도했다.  
    필자는 지난 2016년 4월 28일 가수원 자택(은아아파트 103동 807호)을 방문해 인터뷰를 하고 돌아와 생애와 업적을 정리하고 있다. 당뇨병으로 고생하고 계시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이렇게 빨리 소천하실 지는 미처 몰랐다. 진심으로 고인의 명복을 빈다. 
                                                                                    <참고문헌>
   1. 리헌석, “순수 서정시에 담긴 증언과 의식-등단 60주년을 맞은 임강빈 시인의 작품을 중심으로”,『문학사랑』116호(2016년 여름호), 오늘의 문학사, 2016.6.1.
   2. 최일, “대전 원로 문인 임강빈 선생 별세”, 금강일보, 2016.7.18일자. 18면.
   3. 박영문, “대전지역 원로시인 임강빈 선생 별세”, 대전일보, 2016.7.18일자. 20면.
   4. 신상구, “대전 원로시인 ‘우봉 임강빈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고 명복을 빌며”, 충남일보, 2016.7.19일자. 6면.
   5. 신상구, “우봉 임강빈 선생의 타계를 슬퍼하며”, 대전 디트뉴스, 2016.7.19일자.
  6. 신상구, "대전 원로시인 우봉 임깅빈 선생의 명복을 빌며", 금강일보, 2016.7.20일자. 10면.
  7. 신상구, "대전 원로시인 우봉 임강빈 선생의 생애와 업적", 중앙매일, 2016.7.20일자. 16면. 
  8. 나태주, "오늘 잊지 말고 내일 잊자 - 임강빈 선생 부음에", 특급뉴스, 2016.7.22일자.                                                                                                                                                     9. 나민애,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 임깅빈 독작(獨酌)", 동아일보, 2018.3.30일자. A39면.
                                                                                   <필자 약력>
.1950년 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락리 63번지 담안 출생
.백봉초, 청천중, 청주고, 청주대학 상학부 경제학과를 거쳐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회교육과에서 “한국 인플레이션 연구(1980)”로 사회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UBE) 국학과에서 “태안지역 무속문화 연구(2011)"로 국학박사학위 취득
.한국상업은행에 잠시 근무하다가 교직으로 전직하여 충남의 중등교육계에서 35년 4개월 동안 수많은 제자 양성
.주요 저서 : 『대천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아우내 단오축제』,『흔들리는 영상』(공저시집, 1993),『저 달 속에 슬픔이 있을 줄야』(공저시집, 1997) 등 4권.  
.주요 논문 : “천안시 토지이용계획 고찰”, “천안 연극의 역사적 고찰”, “천안시 문화예술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항일독립투사 조인원과 이백하 선생의 생애와 업적”, “한국 여성교육의 기수 임숙재 여사의 생애와 업적”, “민속학자 남강 김태곤 선생의 생애와 업적”, “태안지역 무속문화의 현장조사 연구”, “태안승언리상여 소고”, “조선 영정조시대의 실학자 홍양호 선생의 생애와 업적”, “대전시 상여제조업의 현황과 과제”, “천안지역 상여제조업체의 현황과 과제”,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조건 심층탐구” 등 69편
.수상 실적 : 천안교육장상, 충남교육감상 2회, 통일문학상(충남도지사상), 국사편찬위원장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상, 자연보호협의회장상 2회, 교육부장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문학 21> 시부문 신인작품상, <한비문학>?<오늘의문학> 문학평론부문 신인작품상, 국무총리상, 홍조근정훈장 등 다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회원, 천안향토문화연구회 회원, 대전 <시도(詩圖)> 동인, 천안교육사 집필위원, 태안군지 집필위원, 천안개국기념관 유치위원회 홍보위원, 대전문화역사진흥회 이사 겸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보문산세계평화탑유지보수추진위원회 홍보위원

시청자 게시판

2,095개(11/105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2646 2018.04.12
1894 부여 ‘신동엽문학관’ 문학 성지로 자리매김 신상구 296 2022.06.01
1893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즐길 권리를 되찾아 줍시다 [1] 신상구 290 2022.05.28
1892 과거는 유교국가 떠받치는 인재풀, 조선판 능력주의 사진 신상구 295 2022.05.28
1891 ‘청주대 출신’ 성악가 연광철, 대통령 취임식서 ‘애국가’ 사진 신상구 432 2022.05.27
1890 인간적이라는 것 사진 신상구 307 2022.05.27
1889 1세대 건축가 김중업 탄생 100주년 사진 신상구 468 2022.05.27
1888 중국에도 이름 떨친 한석봉(한호) 이야기 사진 신상구 378 2022.05.26
1887 <특별기고> 의암 손병희 선생의 생애와 업적과 100주기 추도 사진 신상구 632 2022.05.26
1886 선조가 명나라 망명을 포기한 이유 사진 신상구 662 2022.05.25
1885 고종의 무능과 실정으로 대한제국의 잃어버린 10년 사진 신상구 357 2022.05.24
1884 청석학원 설립자 김원근·김영근 형제 삶 재조명 사진 신상구 483 2022.05.24
1883 초(超)인플레이션 사진 신상구 330 2022.05.24
1882 죽음에 대한 다양한 생각 사진 신상구 477 2022.05.23
1881 최영환 한국추사연묵회 이사장 신상구 655 2022.05.23
1880 한국인이 노벨과학상을 수상하려면 사진 신상구 230 2022.05.22
1879 장애를 극복한 3명의 위인들 이야기 사진 신상구 869 2022.05.22
1878 순종, 바다 건너 일본에서 천황을 만났다 ​ 사진 신상구 354 2022.05.21
1877 <특별기고> 5·18광주민주화운동 제42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신상구 455 2022.05.21
1876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전야제, 광주시민 5천여명이 참석한 가운 신상구 285 2022.05.18
1875 무엇이 같고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 다른가(상) 사진 신상구 452 2022.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