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고조선 영역 신 연구 글쓴이 신상구 날짜 2020.07.21 04:32

                                                                      고조선 영역 신 연구


    “강역이 어디냐, 수도가 어디냐, 패수가 어디냐 같은, 이제껏 수없이 반복됐던 논의를 또다시 되풀이하는 것보다는 고조선의 실체가 무엇이었느냐 같은, 고조선을 이해하기 위한 틀 자체를 재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얘기를 하고 싶었어요.”

    2018.8.27일 동북아역사재단의 한중관계연구소 박선미 박사가 밝힌 강조점이다. 박 박사는 최근 고조선사연구회에서 ‘고조선의 종족적 정체성과 고고학 자료의 해석 문제’란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박 박사는 중국 측 자료들을 분석해 본 결과 고조선은 실재했으며 고조선 지역은 부여와 고구려, 옥저, 예를 합친 쪽에 가깝다고 추정했다.

   오늘날 고조선 연구는 위태로운 주제다. 학계에서는 고조선 얘기를 꺼내는 즉시 ‘국뽕’이란 눈총을 받는다. 시원, 혹은 기원에 대한 연구는 위대함과 곧장 연결되기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워낙 소략한 자료로 큰 이야기를 만들어 내야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대중들은 민족적 감정에 충실할 것을 요구한다. ‘최초(最初) 최고(最古) 최대(最大)’를 열망하는 이들에게 기존 연구는 하나같이 믿을 수 없는 것들뿐이다. 양쪽 갈등이 치열해지면서 서로를 보는 눈도 극단화됐다. 한쪽은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잘못된 설만 추종하는 ‘아바타 식민사학자’라 비판받고, 다른 한쪽은 무슨 수를 쓰던지 지도만 크게 그리면 박수받는 ‘국뽕 추상화가’가 됐다.

   고조선 연구자인 박 박사의 논문은 이 사이를 파고들기 위한 것이다. 그가 무기로 들고 나온 것은 중국 정사(正史)의 여러 기록들, 그리고 민족주의 이론가 앤서니 스미스가 말한 ‘민족 이전의, 민족의 역사적 토대로서의 에스닉(ethnic)’ 개념이다. ‘민족’이 근대적 개념이라는 건 오래된 주장이다. 에스닉은 근대 들어 민족이 정립되기 이전에 언어ㆍ문화ㆍ지리적 특징과 유사성을 공유하는, 민족보다는 약하지만 어떤 유대감을 지닌 종족이라는 관념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박찬승 한양대 교수가 에스닉의 번역어로 ‘족류(族類)’를 제안한 바 있다.

   일단 중국 쪽 기록들. 관자(管子),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등 중국이 남긴 여러 기록들을 보면 동일언어군으로 “부여, 고구려, 동옥저, 예가 한 그룹으로 묶”이고, “변한, 진한이 같은 언어그룹”으로 “읍루, 마한, 주호가 각각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온다. 의식주 등 풍속에 대한 기록을 봐도 “부여, 고구려, 옥저, 예가 대체로 유사한 풍속과 법속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말하자면 중국인의 눈에 저기 동북쪽과 그 너머에 있는 이들은 “부여ㆍ고구려ㆍ옥저ㆍ예, 진한ㆍ변한, 읍루, 마한, 주호 등 다섯 그룹”으로 인식됐다는 얘기다. 옛 언어를 기록해 둔 ‘방언’과 ‘설문해자’ 기록들도 이런 분석과 유사하다. 그렇다면 옛 고조선은 부여ㆍ고구려ㆍ옥저ㆍ예의 전신(前身)이라고 추정해 볼 수 있다.

   박 박사는 이런 자료가 중국이란 타자에 의한 일방적 기록이긴 하지만 중국인 스스로가 우리와 다른 어떤 종족이 있다라고 기록해 둔 자료인 만큼 “중국 동북부 지역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이 곧 고조선”이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료의 신빙성 문제도 되짚었다. 박 박사는 “중국 측 사료를 보면 상대적으로 왜에 대한 기록은 짧은 편인데, 이것은 거꾸로 중국 동북, 그리고 한반도 서북부지역에 대해서는 중국인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정보를 지니고 있었다는 얘기가 된다”고 말했다. 동시에 중국 측 자료에 기반한 만큼 중국 동북공정에 즉각 반박할 수 있는 논리이기도 하다.

중국 동북공정에 항의하는 한국 학술, 시민단체들의 집회. 항의는 필요하지만 좀 더 정교한 논리가 필요하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런 주장도 위태롭긴 매한가지다. 고조선의 강역을 한정 없이 늘리는 이들은 비파형 동검, 고인돌 같은 유물의 분포도를 내세운다. 비슷한 유물이 나오면 동일한 문화권, 동일한 국가의 영역으로 비약하는 논리다. 학계에서는 이런 논리를 인정하지 않는다. 박 박사도 이 점은 받아들인다.

   여기에다 박 박사의 주장은 개략적인 스케치일 뿐이다. 고조선이라는 것이 존재했으며 대략 부여ㆍ고구려 등의 영역이었다는 사실만 알려줄 뿐, 그 안에 무엇이 들었는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못했다. 그 안에 들어 있는 것이 원시부족 수준인지, 아니면 중앙집권적 대제국인지에 대해서는 함구하는 셈이다. 박 박사는 “앞으로 연구자들이 채워 나가야 할 부분”이라면서도 “일단 어느 정도 범위가 주어진 이상 그 범위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정교하게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향후 고조선 연구도 비슷한 유물만 나왔다 하면 일단 영역을 넓히고 볼 것이 아니라, 같은 지역 내 다른 유물, 다른 지역 간의 비슷한 유물 등을 두고 어떤 문화 교류, 충돌이 일어났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맞춰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참고문헌>

   1. 조태성, "고조선 영역은 부여, 고구려, 옥저, 예를 합친 것에 가깝다", 한국일보, 2018.8.28일자.  

공감 

시청자 게시판

2,111개(10/106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시청자 게시판> 운영원칙을 알려드립니다. 박한 44218 2018.04.12
1930 103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꼽은 늙지 않는 세가지 방법 신상구 368 2022.07.16
1929 세계화 시대 저물면 대한민국은 몹시 큰 피해자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사진 신상구 245 2022.07.16
1928 신선이 노는 복되고 신성한 땅, 경주 낭산 사진 신상구 293 2022.07.15
1927 대전은 스토리의 보고 신상구 269 2022.07.14
1926 가짜 뉴스를 만들어서라도 가지고 싶었던 권력 사진 신상구 288 2022.07.13
1925 대전의 역사 이야기와 도시 정체성 사진 신상구 243 2022.07.13
1924 윤동주·장인환 등 독립유공자 156명 호적 생긴다 신상구 272 2022.07.12
1923 中도 원조 주장 못 펴는 '고려 인삼'의 원천 기술 사진 신상구 276 2022.07.10
1922 사또를 고소하는 자는 곤장 100대에 처한다 사진 신상구 314 2022.07.09
1921 국가 수학등급 최상위 승격, 필즈상 수상,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사진 신상구 457 2022.07.09
1920 국학박사 신상구,『충남연구』통권9호에 학술논문「아산지역 상여연구」게재 사진 신상구 339 2022.07.09
1919 천부경은 우리 얼을 담은 최고의 경전 신상구 608 2022.07.02
1918 한국효문화진흥원, 사단법인 한국시조협회와 하계효문화포럼 개최 사진 신상구 385 2022.07.01
1917 한반도 비파형동검 분포 사진 신상구 494 2022.07.01
1916 백제의 ‘익산 천도론’ 비밀의 열쇠 수부 사진 신상구 318 2022.06.30
1915 세종의 정치 배신한 세종의 인재들 사진 신상구 411 2022.06.29
1914 소정 정훈 선생 유품 개인 소장자 대전문학관에 기증해야 사진 신상구 384 2022.06.29
1913 <특별기고> 6·25한국전쟁 72주년을 추념하며 사진 신상구 446 2022.06.27
1912 한국효문화진흥원, 사단법인 한국시조협회와 하계효문화포럼 개최 사진 신상구 316 2022.06.27
1911 민족사관고 설립 최명재 이사장 별세 사진 신상구 381 2022.06.27